보약은 동의학에서 나온 것인 만큼 어디까지나 전통적으로 전해내려온 동의
학의 원리와 해당 약품의 주요 효능, 성분 그리고 주요 용도에 따라 일반적
으로 크게 보기약, 보양약, 보음약 등으로 나뉜다.
* 보기약: 인삼, 당삼, 황기, 백출, 산약, 황정, 감초, 오미자, 대조, 꿀,
벌풀, 연자, 검인, 우슬, 엿, 건율, 해송자
* 보양약: 녹용, 녹각, 음양곽, 산수유, 복분자, 토사자, 육종용, 익지인,
두충, 보골지, 호로파, 호도육, 파극천, 동충하초
* 보혈약: 숙지황, 백하수오, 당귀, 작약, 아교, 용안육
* 보음약: 구기자, 사삼, 백합, 천문동, 맥문동, 호마, 구판, 별갑, 현삼,
해삼, 서곡
보약은 또한 사람몸 안의 어느 장부를 어떻게 보하는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도 있다.
(1) 신에 작용하는 보약
* 신음을 보하는 약: 숙지황, 구판, 별갑, 아교, 여정실, 사삼, 천문동, 구
기자, 황정, 산수유, 우슬, 백하수오, 상기생
* 신양을 보하는 약: 녹용, 부자, 육계, 음양곽, 보골지, 파극천, 육종용
* 신정을 걷잡는 약: 금앵자, 토사자, 검인, 오미자, 의이인
* 신정을 보강하는 약: 녹용, 녹각교, 아교, 구판, 음양곽
* 근골을 든든하게 하는 약: 두충, 우슬, 호골
(2) 비에 작용하는 보약
* 비기를 보하는 약: 인삼, 황기, 당삼, 백출, 자감초, 의이인, 연자, 작두
* 비를 덥게 하는 약: 건강, 창출, 오수유, 의이인
* 비음을 보하는 약: 산약, 황정, 검인, 가작약, 꿀, 대조
(3) 심에 작용하는 보약
* 심음, 심혈을 보하는 약(안신약): 백자인, 산조인, 지황, 용안육, 맥문동,
당귀, 가작약, 구판, 아교, 백합
* 심기를 돕는 약: 인삼, 황기, 당삼, 백복신, 오미자, 자감초, 부자, 육계
(4) 폐에 작용하는 보약
* 폐음을 보하는 약: 당삼, 맥문동, 천문동, 산약, 아교, 백합, 석곡, 황정
* 폐기를 보하는 약: 인삼, 황기, 당삼, 자감초, 오미자
(5) 간에 작용하는 보약
* 간음을 자양하는 약: 산수유, 생지황, 숙지황, 구기자, 여정실, 두충, 아교,
별갑, 가작약, 오매
* 간혈을 보하는 약: 당귀, 가작약, 백하수오, 구기자, 우슬, 계혈 등, 대조
(6) 담에 작용하는 보약
* 담을 덥게 하며 보하는 약: 산조인, 지황, 산수유, 건강, 당귀, 오미자
(7) 소장에 작용하는 보약: 소장을 덥게 하는 약이 소장에 작용하는 보약인
데 비를 덥게 하는 약과 같다.
(8) 위에 작용하는 보약
* 위를 덥게 하는 약: 비를 덥게 하는 약과 같다.
* 위(음)를 보하는 약: 석곡, 맥문동, 황정, 당삼, 생지황
(9) 대장에 작용하는 보약
* 대장을 덥게 하는 약: 비를 덥게 하는 약과 같다.
(10) 방광에 작용하는 보약
* 방광을 덥게 하는 약: 육계, 산수유
* 방광을 튼튼하게 하는 약: 의이인, 녹각상, 은행
건강 정보/보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