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보약

7. 보약의 약효

by Healing New 2020. 6. 8.

      동의학적인 견지에서 본 보약의 약효는 부족해진 인체의 음양기혈을 보충하며
    내장의 기능을 바로 잡고 음양기혈의 부족으로 생긴 여러가지 병증을 낫게 하는
    데 있다.
      양허증은 대체로 기허증을 겸하고 기허증은 결국에 가서 양허증을 겸한다. 또
    한 음허증은 많은 경우 혈허증을 겸하고 혈허증은 결국 음허증을 일으킨다.
    그렇기 때문에 보기약, 보양약을 함께 처방하고 보음약, 보혈약을 함께 처방하
    여야 효력을 잘 나타낸다.  혈허증 치료 때 보기약을 겸해 쓰는 것은 기가 왕성
    해야 혈이 생성될 수 있고 혈을 제 궤도 따라 돌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음양기혈의 부족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영양을 주고 받으므로
    임상에서는 환자의 병세에 따라 보기약, 보혈약, 보음약을 유기적으로 배합해
    서 써야 보약의 작용을 잘 나타낼 수 있다.
      * 기운을 보한다. 일반허약자, 만성쇠약성질병, 앓고 난 뒤에는 흔히 무력
    권태감을 호소하는데 이런 때에는 기운을 보강할 목적으로 보기약을 쓴다.
      보기약은 일반적으로 대사기능을 높여주며 영양을 좋게 하고 조직의 기능을
    바로잡는 방향에서 작용한다.
      * 혈을 보충한다.  동의학에서 말하는 혈허증에는 각종 비혈, 출혈성 질병
    을 포괄해서 그 범위가 대단히 넓은데 이런 병증들에는 혈을 보충해줄 목적
    으로 보혈약을 쓴다.  보혈약은 일반적으로 조혈기능을 강화하거나 적혈구 수
    를 늘여 빈혈증상을 낫게 하는 외에 여성들의 질병 특해 월경장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 음을 보한다.  동의학에서 말하는 음허증에는 발열 또는 구토와 설사로 체
    액을 잃은 상태를 비롯하여 그 포괄범위가 매우 넓은데 음이 모자란 증상을 나
    타내는 모든 병증치료에는 보음약이 쓰인다.
      보음약은 일반적으로 보혈약의 작용을 보강하며 신음, 신정을 보충하여 신음
    허쇠로 오는 병증들을 낫게 한다.
      * 양을 보한다.  양허증에는 성선 및 생식 기능이 낮아진 상태, 일반 저항
    력이 약해진 상태,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는 상태 등을 포괄하여 그 범위가
    매우 넓은데 이런 병증들에는 보양약이 쓰인다.
      보양약은 일반적으로 보기약의 작용을 보충하며 신양, 신기롤 보강하여 신
    양허약으로 오는 병증들을 잘 낫게 한다.

'건강 정보 > 보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보약의 용도  (0) 2020.06.08
8. 보약의 약리  (0) 2020.06.08
6. 보약의 귀경  (0) 2020.06.08
5. 보약의 성분  (0) 2020.06.08
4. 보약의 법제  (0) 2020.06.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