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증상

등의 통증

by Healing New 2020. 6. 10.

재등 호
사립학교공제조합 하곡병원 원장
내장의 병이 아닌가 의심해 볼 것
- 소화기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가운데 처음에는 등이 아프다고 호소하는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만...
그렇습니다. 등의 통증은 등 자체에 원인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내장에 생긴 병의 증세로 나타나는 경우도 흔히 있기 때문에 등이 아프다고 호소하면 의사들도 주목하게 됩니다. 또 등의 통증을 환자가 호소함으로써 수술의 계기가 된 예도 드물지 않습니다. 하지만 등의 통증만을 가지고 "어떻습니까?"하고 물어 보면 그 자리에서 분명히 진단을 내리기가 곤란합니다. 그것은 한마디로 등이 아트다고 해도 아픈 유형이나 정도가 각기 다를 뿐 아니라 원인도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등이라고 하는 것은 도대체 어떤 부위일까요? 등은 자신의 눈으로 볼 수가 없는 부위입니다. 다른 사람에게 봐 달라고 하든가, '등긁이'로 건드려 보는 수밖에는 다른 방법이 없지요.
- 위가 약해서 곧잘 등이 짓눌리는 것처럼 답답해지는데 거기를 눌러 주면 아주 기분이 좋다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럴 경우, 역시 위가 원인이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통증이 내장에서 등으로 전해지는 것입니까?
등에 어딘가 탈이 생겨서 아픈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지금 말한 것처럼 위인지 장인지는 알 수 없으나 내장에 어떤 병이 있어서 등에 통증을 느낀다든가 또 위의 뒤를 누르면 속이 편해진다든가 하는 겅우는 비교적 흔한 것 같습니다. 이것은 내장의 신경이 척수로 자극을 전하고, 또 척수에서 나와 있는 피부의 지각신경이 등으로 이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등이 짓눌리는 듯이 쑤신다 - 늑막염
- 그러면 등의 통증을 호소하는 병 가운데 내장의 병으로는 주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는 늑막염, 간장병, 담석, 심장병, 위궤양, 췌장염이 있습니다. 그밖에 폐암이나 심장병도 등에 통증이 나타나는 수가 있습니다만, 늑막염의 경우는 열이나 기침, 흉통등 여러 증상외에 등이 매우 아프거나 무겁거나 해서 뭐라고 표현할 수 없는 불쾌한 기분에 사로 잡히기도 합니다. 다음은 어떤 의사에게서 들은 얘기 입니다. 그 의사는 등이 무겁고 아파서 견딜 수가 없었답니다. 그래서 아마 무리하게 일을 해서 피로한 탓이려니 생각하고 비타민제와 진통제를 먹기도 하고 주사를 맞기도 했는데, 그래도 좀처럼 낫지 않았습니다. 그러고 있는 동안에 한번은 호흡을 할때 무슨 소리가 났습니다. 그래서 깜짝 놀라 가슴에 청진기를 대어 봤더니 마찰음이 들리더랍니다. 늑막염이 있으면 그러한 소리가 들리는 법입니다. X레이 사진을 찍어 봤더니 역시 늑막염으로 밝혀졌다는 것입니다. 복부의병으로는 간장병이 있습니다. 간장에는 여러 가지 병이 있는데, 간경변이나 간장암도 이렇다 할 자각증상이 없이 다만 등이 아프거나 무겁거나 한 것이 시작인 경우도 있습니다.
등을 꿰뚫는 듯한 격통 - 담석증
- 담석증도 통증이 오는 대표적인 병입니다. 환자는 담석증의 발작이 일어나면 등을 꿰뚫는 듯한 격통을 느낀다고 호소합니다. 아픔이 뻗친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으나 꿰뚫는다는 말, 이것이 실감나는 표현일 것입니다.
담석증 환자의 실례를 하나 들겠습니다. 육십세 가까운 부인이 있었는데 어느 날 친구 몇 사람과 차를 마시고 있으려니까 갑자기 오른쪽 가슴에서부터 등까지 통증이 뻗쳐 그만 그 자리에 웅크린 채 주저앉았다고 합니다. 한참 지난 후에 통증이 씻은 듯이 가셨는데, 좌중에 남편이 담석증으로 수술을 받았던 사람이 있어서 "지금 당신이 겪은 발작은 그이가 아플 때하고 아주 비슷해요. 당신도 담석증인지 몰라요"하고 말했답니다. 발작을 일으킨 부인은 "담석증은 아닐거야. 예전에 늑막염을 앓은 적이 있으니 그탓일거야, 아니면 이렇게 아픈 걸 보니 심장병일는지도 몰라"하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아뭏든 통증의 발작은 그때뿐이었고 별로 몸의 이상도 느끼지 않았으나 친구가 말한 얘기도 있고 하여 걱정이 되어서 저한테 전화를 걸어 왔습니다. 담석증이 아니라는 말을 저한테서 듣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발작이 일어났을 때의 통증의 상태등을 묻고 나서 "전에도 등이 아픈 적이 있었나요?" 하고 질문해 봤습니다. 그랬더니 "실은 삼년 전쯤에도 그런 일이 있었어요. 가슴을 죄는 듯한 느낌도 들어 괴로왔던적이 있었지만 간단히 나았지요. 이번 발작하고는 관계가 없다고 생각되는군요"하고 말하더군요. 그래서 저는 전화 진단이기는 하지만 일단 담석증으로 진단하고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헸습니다. 역시 그 환자는 꽤 큰 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것도 내장에 생긴 병의 증상이 등이나 가슴 부근의 통증으로 나타난 한 예라 하겠습니다.
그리고 위궤양이나 만성위염인 경우에도 여러 증상의 하나로 등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꽤 심하게 아픈 경우도 있지요. 또 일례로 위궤양이 천공이 되어 급성복막염이 일어났을 때에도 등이 아픕니다. 물론 배도 아픕니다만. 그리고 잊어서는 안될 것이 위암입니다. 이 경우에도 등에 통증이 옵니다.
그리고 췌장염의 겅우는 비교적 일찍부터 통증이 등으로 옵니다.
- 초기 단계에서 바로 등에 통증이 생기는 것도 있고, 또 그반대인것도 있습니까?
그렇습니다. 병이 어느 정도 진행되고 나서 통증이 등으로 오는 것이 있는가 하면 비교적 빠른 시기에 등으로 통증이 오는 것도 있습니다.
또 등에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통증뿐만 아니라 붓는다든가 무겁다든가 기분이 언짢다든가 하는 여러가지 느낌이 있으므로 그러한 것도 아울러 주의를 해야 합니다.
등에 원인이 있는 통증
- 등에 어떤 이상을 느꼈을 때에는 여러가지 내장의 병을 생각할 수 있다는 말씀이신데 등 자체에 원인이 있어서 일어나는 통증도 많습니까?
그런 경우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신체의 다른 부위에도 흔히 생기는 것이기는 하지만, 등의 피부에 분류가 생겨서 그것때문에 아픈 경우도 있고, 피하에 병이 있거나 근육에 통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늑골의 병이나 척추의 병이 있습니다. 이즈음에는 드물어졌지만, 늑골이나 척추의 카리에스라는 병은 등이 몹시 아픕니다. 돌아누워도 등을 굽혀도 아픈, 까다로은 병이지요. 이처럼 등에 어떤 원인이 있는 경우에는 겉에서 만지거나 누르기만 해도 대개 알 수 있습니다. 또 등의 표면도 내장도 아닌 부위의 병으로서 늑간신경통이 있습니다. 늑골의 뼈와 뼈 사이의 신경이 아픈 것이지요. 이것은 감기에 걸려도 일어나지만, 헤르페스라는 병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체의 위쪽에서 아래쪽에 걸쳐 비스듬히 늑간신경이 지나는 줄기 같은 선을 따라서 피부에 물집 같은 것이 생겨 몹시 아픕니다. 이것도 눈으로 봐서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이른바 늑간신경통이라고 생각되는 것 중에는 척추신경까지 침범한 경우도 있으므로 간단히 생각하지 않는 편이 좋습니다.
- 말씀을 듣고보니 등의 통증은 모두 무서운 병과 연결되어 있는 듯합니다. 평소에 가벼운 통증을 느끼고 있던 사람도 공포감에 사로잡히게 되지나 않을까 생각되는군요.
그렇군요. 이런 얘기를 하면 웬지 걱정스럽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더군요. 그러나 등의 상태가 좋지않을 때에는 국소적인 것뿐만 아니라 내장에 여러가지 병이 숨겨져 있는 경우도 꽤 있다는 사실을 알아 둘 필요가 있습니다.
진찰을 받아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내장에 나쁜 곳이 있더라도 검사를 하면 바로 알 수 있고, 오늘날 위암 등은 조기에만 발견하면 90% 이상이 완전히 낫기 때문에 공연히 걱정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검사를 해서 아무 것도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그것은 국소만의 문제가 되는 셈이지요.
- 등이 아픈 것이 무서운 병으로 말미암은 것인지 그렇지 않은 것인지는 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판단해서는 안되겠군요.
그렇습니다. 앞서 담석증을 설명할때 예로 든 부인과 같은 경우도 있으므로 스스로 판단해서 결정하는 일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 진찰을 받을 때에는 어디가 아프다는 것뿐만 아니라, 과거의 병이나 자각증상 등도 잘 생각해 내서 의사선생님에게 말씀드리는 것이 좋겠군요.
그것도 몸 전체에 관해서 여러가지 이상이나 마음에 걸리는 점을, 이것은 관계가 없을 것이라고 스스로 펀단해 버리지 말고 모두 이야기 해야합니다.
- 그렇다면, 통증을 '위험합니다.'하고 알려 주는 경고라고 생각해도 되는 겁니까?
맞습니다. 몸에 뭔가 이상이 생겨서 그것이 아픔이라는 형태로 위험신호를 보내고 있는 것이므로 의사의 진단을 바탕으로 적당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건강 정보 > 증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발이 저리다  (0) 2020.06.10
요통  (0) 2020.06.10
오십어깨  (0) 2020.06.10
어깨가 결린다  (0) 2020.06.10
유방의 응어리  (0) 2020.06.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