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눈건강

늙으면 왜 노안이 되는 것일까? 근시는 노안이 되지 않는다고 하는데.....

by Healing New 2020. 7. 9.

눈에는 반사적으로 가까이에 핀트를 맞추는 작용이 있어 이것을 조절이라고 부른다.
  앞에서는 수정체를 제외하고 설명했지만 수정체는 직경 9mm의 볼록렌즈의 모양을 하고 있고, 
전주를 가는 선유(침소대)에서 모양체에 끌리고 있다. 가까이를 보려고 해서 모양체 속의 
모양근이 수축하면 침소대가 늦춰져서 수정체는 자신의 탄력으로 부푼다. 부풀면 볼록 렌즈의
작용이 강해져서 그 만큼 가까이에 핀트가 맞는다. 1m의 곳을 볼 때는 +1D, 25Cm라면 +4D, 
10Cm 이라면 +10D의 분만큼 반사적으로 순식간에 부푼다.(동시에 양눈이 그 점에 집중한다. 
이것을 폭주라고 부른다.)
  그림 생략
  먼곳을 볼때
  모양근이 느슨해지고 침소대가 탄력선유에 끌려 수정체가 평평해진다.
  가까운 곳을 볼때
  모양근이 수축하고 침소대가 느슨해져서 수정체가 부푼다.
  그런데 수정체의 탄력은 누구나 국민학생 무렵부터 이미 감소하기 시작해서 핀트를 맞출 수 
있는 거리는 착실히 멀어져 간다. 20세의 수정체는 10세의 수정체보다도 경화해 있지만 일상 
생활에 지장이 없으므로 깨닫지 못한다. 그러나 정시의 사람의 45세경이 되면 작업에 편리한 
25-30cm에 핀트를 맞출 만큼 탄련조차 없어져 버린다. 이것이 노안으로 노안경(볼록 렌즈)을 
써서 보완할 필요가 생긴다. 더구나 연령이 들면, 그 도수도 어느 정도 강하게 해 나가야 한다.
  맞는 안경을 쓴 근시인은 정시와 완전히 같은 계산으로 쓰고 있는 오목 렌즈의 도를 노안경의 
볼록 렌즈에 상당하는 도수만큼 줄이게 된다. 그러나 근시에서는 반드시 망막에 핀트를 맺는 
장소가 눈앞에 있으므로 어느정도 이상(-3D 이상)의 근시안은 안경을 벗을 경우 몇 살이 되어도 
그장소에만 가져다 대면 가는 문자라도 읽을 수 있게 된다. 경로일에 뉴스가 되는 '노안경이 
필요없는 건강한 노인'은 사실은 젊을 때부터 근시였을 것이다.
  원시인을 멀리를 보는 데에도 반사적으로 수정체를 부풀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가까이 보기 위한 
여유가 적어 그만큼 빨리 노안경이 필요해진다. 또한 같은 연령의 사람보다도 두꺼운 볼록 
렌즈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연령이 들어서 수정체의 탄력이 없어지면 볼록 렌즈를 쓰지 
않으면 먼곳조차도 발 보이지 않게 된다. 맞는 안경을 쓰고 있는 원시는 물론 정시와 같은 
계산이다.
    시력 검사
  렌즈를 넣지 않고 측정하는 나안 시력 검사와 렌즈나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한 교정 시력 
검사가 있다. 독서하는 거리에서 측정하는 것은 근거리 시력 검사이다. 어린이의 경우는 고리를 
들게 하여 터진 곳에 맞추도록 가르치면 어릴 때부터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굴절 검사
  근시, 원시, 난시의 도수를 결정하는 검사에서 렌즈를 바꾸면서 보이는 법을 비교하는 자각적 
방법 외 기계를 사용해서 객관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이 있고,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를 사용해서 
1초 이내에 측정 프린트 아웃하는 기계가 잇따라 개발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