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증상75

혈뇨 길리 화 병송의과대학 학장 쉽사리 알아볼 수 없는 혈뇨도 있다. - 평소와는 달리 혈뇨가 나오면 금방알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만 어떻습니까? 그렇다고 하고 싶습니다만, 오줌 속에 혈액이 어느 정도 섞여 있으면 붉게 보이는가 하는 점이 문제이지요. 혈뇨라고 해도 새빨간 오줌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닙니다. 섞인 피가 아주 적으면 육안으로 보아서는 알 수 없습니다. 현미경으로 자세히 조사해 보아야 비로소 알 수 있지요. 우리들은 이것 역시 혈뇨라고 부릅니다. 1L의 오줌 가운데 1cc나 2cc의 혈액이 섞여 있으면 붉은 빛을 띠어 풋나기도 알 수 있습니다만 실제로는 그보다 가벼운 정도의 혈뇨가 훨씬 많습니다. 이 점이 혈뇨를 지나쳐 버리기 쉬운 이유의 하나이겠지요. 그런데 자신의 오줌이 빛깔을 약간 띠고 있.. 2020. 6. 10.
혈변 소금택 자 교성병원 항문병센터 외과 부장 혈변의 종류 - 대변에 피가 섞여 나왔다고 하면, 우리들은 우선 치질이 아닌가 하는 의심부터 하게 됩니다. 선생님을 찾아오는 환자들 가운데도 역시 그런 사람이 많겠지요? 혈변이라는 것은 육안으로 보아서 대변에 피가 섞여 있다든지, 육안으로는 판별할 수 없지만 현미경으로 검사해 보았더니 출혈이 보였다든지, 어떤 테스트를 했더니 잠혈반응이 양성으로 나타난 경우를 말합니다. 이처럼 혈변이 걱정되어 병원을 찾아온 환자 가운데는 역시 치핵이라든지 항문열창과 같은 양성 환자인 경우가 대부분(80%)입니다. 그러나 그중에는 대장의 염증이나 암과 같이 방치해 둘 수 없는 질병도 있으므로 항문에서 피가 나왔다는 환자가 찾아오면 우리들은 몹시 긴장하게 됩니다. 한마디로 혈변이라고 .. 2020. 6. 10.
변비 명미 양헌 삼락병원 명예고문 여러 가지 타입의 변비 - 한마디로 변비라고 하는데 그것은 정확히 어떤 상태를 뜻하는 것입니까? 대변의 회수와 양이 적은 것이 변비입니다. 따라서 매일 대변이 나와도 아주 조금밖에 나오지 않으면 이것도 변비입니다. 또한 변비인 경우는 대변이 딱딱해지는데 언제나 딱딱한 것은 아니고 부드러운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설사를 한다면 그것은 변비라고 할 수 없습니다. - 그렇다면 흔히들 하루에 한번 변을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데 그러지 않아도 좋은가요? 어머니가 자식들에게 매일 대변이 나오지 않으면 곤란하다, 오늘은 안 나왔으니 큰일이다 하는 식의 이야기를 줄곧 해왔습니다. 그래서 하룻동안 대변이 나오지 않았기 대문에 변비가 되고 말았다고 생각하기 쉽겠지요. 그러나 하루 걸러 한.. 2020. 6. 10.
설사 황전 국립대장병원 원장 변의 상태를 관찰한다 - 설사는 많든 적든 대부분의 사람들이 경험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간단히 말해서 어떤 것이라고 보면 좋을까요? 설사를 한마디로 말하면 수분이 몹시 많은 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흙탕물 같은 것에서부터 완전히 물 같은 것까지 각양각색입니다. - 설사라는 상태는 어째서 일어나는 것일까요? 설사는 평범한 증상의 하나이긴 합니다만 그것이 일어나는 메카니즘은 파악하기 어려워서 자세한 것은 아직까지 잘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는 크게 나누어 다음과 같은 상태가 얽혀서 설사가 된다고 우리들은 믿고 있습니다. 첫째로는 장관에서의 수분 흡수가 장해를 받는 경우이고, 다음은 그 반대로 장점막에서 장액의 분비가 많아지는 경우입니다. 이렇게 되면 변에 수.. 2020. 6. 10.
토혈 화전 달웅 동경대학 의학부 교수 토혈의 원인 - 입에서 피를 토한다 하면 듣기만 해도 놀라 자빠질 것 같은데, 대단한 일이 몸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겠지요? 그렇습니다. 입 안에서 피가 나오는 것이므로 토혈을 한 본인은 물론 가족들도 놀라서 일종의 공포분위기에 빠져 들게 되겠지요. 의학적으로 토한다는 행위에 피가 섞이면 아무리 적은 양이라 하더라도 토혈입니다. 그런데 출혈이 소량이면 생명과 바로 연관되는 것도 아니고 원인만 밝혀내면 되는 것이므로 그렇게 당황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토혈량이 많아지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지요. 그런 경우에 주의할 점 등을 중심으로 이야기해 보지요. - 토혈이 있는 경우 그 혈액은 도대체 어디서 나오는 것입니까? 여러 곳에서 나오지요. 그러나 십이지장 아랫부분에.. 2020. 6. 10.
격렬한 복통 대관 준명 축파대학 의학전문학군 임상의학계교수 통증의 종류에 따라 진찰순서가 정해진다. - 환자가 배가 아프다고 호소해 오는 경우, 의사는 어떤 순서로 아픔의 원인이 되고 있는 질병을 알아내게 되나요? 한마디로 배라고 하지만 그중에는 위, 장, 간장 등 여러 가지 장기가 있지 않습니까? 배가 아프다는 것은 가장 많이 호소해 오는 증세의 하나이지요. 그러나 한결 같이 배가 아프다 해도 통증의 성질이나 정도 및 아픈 부위는 질병이나 사람에 따라 각양각색입니다. 쿡쿡 쑤시듯이 심하게 아픈 경우라든지 심하지는 않으나 쿡쿡 찌르듯이 아픈 경우 등 통증의 종류도 여러 가지이고 통증이 지속되는 시간도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게다가 방금 말씀하셨듯이 배 속에는 위, 장, 췌장, 담낭, 자궁, 난소, 신장, 방광 등 많.. 2020. 6.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