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약: 기허증에 주로 쓴다. 온몸이 나른하며 맥이 없고 숨결이 밭으며
입맛이 없고 설사하는 경향이 있으며 땀이 잘 나고 맥이 허약한 때에 좋다.
흔히 당삼, 황기, 백출, 복령 등 보기약에 양기를 보장하며 기를 끌어올리는
약물을 배합하여 처방한다. 흔히 쓰는 처방은 사군자탕, 보중익기탕, 생맥
산, 삼령백출산 등이다.
* 보혈약: 혈허증에 주로 쓴다.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해지곤 하며
이명, 심계정충, 불면증 등이 있고 얼굴에 혈색이 없으며 맥이 가늘고 빠른
때, 월경부조가 있는 때에 쓴다.
당귀, 숙지황, 아교, 가작약 등 보혈약에 인삼, 황기와 같은 보기약 또는
필요에 따라 심혈을 보하며 정신을 안정시키는 약, 피를 잘 돌게하는 약,
간음을 보하는 약 등을 배합하여 처방한다. 흔히 쓰는 처방은 사물탕, 당귀
보혈탕, 귀비탕, 자감초탕 등이다.
* 보음약: 음허증에 주로 쓴다. 신을 보하며 음을 자양하는 작용을 한다.
음액이 모자란 관계로 입안이 말르고 낮은 열이 나며 뺨이 붉어지고 손바닥,
발바닥이 화끈거리며 가슴이 답답하여 잠들 수 없고 식은땀, 기침이 나며
맥이 약한 때에 좋다.
숙지황, 산수유, 지모, 천문동, 맥문동, 구판 등으로 처방을 구성한다.
흔히 쓰는 처방은 육미환, 좌귀음 등이다.
* 보양약: 양허증 및 허한증에 주로 쓴다.
추위를 몹시 타며 허리와 무릎, 다리에 힘이 없고 배가 아프며 설사경향이
있고 오줌이 자주 마려운 데, 야뇨증, 유정, 몽설, 신허로 오는 효천 등에
쓴다
음양곽, 산수유, 토사자, 보골지, 육종용 등으로 처방을 구성한다. 흔히
쓰는 처방은 팔미환, 우귀음이다.
'건강 정보 > 보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보약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 (0) | 2020.06.08 |
---|---|
10. 보약을 쓰는 법 (0) | 2020.06.08 |
8. 보약의 약리 (0) | 2020.06.08 |
7. 보약의 약효 (0) | 2020.06.08 |
6. 보약의 귀경 (0) | 2020.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