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부 생활습관별 항산화벽 구축전략
제 7부 생활습관별 항산화벽 구축전략 항산화벽이 망가지지 않는 올바른 운동법 적응기간을 거쳐 서서히 운동하면 항산화 방어능력도 증가된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젊었건 나이가 들었건간에 근육이 탄탄해지고, 뼈가 강해지며, 콜레스테롤이 낮아지고, 심장병과 암예방 효과가 나타난다. 또 비만이 해결되고, 잠을 잘 자며, 우울해지지 않고, 면역 기능도 향상된다. 골다공증이 안 걸리는 방법의 경우를 예로 들면 칼슘을 하루 1.5g정도 먹고 짜게 먹지 않으며, 칼슘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커피나 콜라, 사이다 같은 것을 안 마시고 음주 절제, 금연 등의 방법이 다 중요하지만, 운동의 효과에 비할 바가 못된다. 근육의 경우도 60세가 되면 청년시절보다 20%가 감소하지만, 양질의 단백질을 체중 1kg당 1g정도 섭취하면서..
2020. 6. 16.
제 3부 활성산소의 피해를 막아주는 항산화제의 비밀
제 3부 활성산소의 피해를 막아주는 항산화제의 비밀 제 1, 2부는 프리라디칼, 활성산소의 정의와 그것들이 몸 속 어디 어디에서 생기는가에 대한 것이고, 이번 장은 그런 활성산소를 처리하는 항산화제가 어떤 것들인가에 대한 내용이다. 내용이 좀 전문적이긴 하지만 알고 보면 별 게 아니다. 항산화제는 우리 몸의 세 군데(세포안, 세포막, 세포 바깥)에 존재하며 각각 위치하는 항산화제의 종류가 다르다. 세포 안쪽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산화효소가 프리라디칼을 처리한다. 1.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2. 카타라제, 3. 글루타치온 페록시다제, 4. 셀레니움 세포막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산화효소가 프리라디칼을 처리한다. 1. 비타민 E, 2. 비타민 C, 3. 조효소 큐 세포 외부(예: 혈관 내)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
2020.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