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은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자주 경험하는 증상이다.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
거나 약간의 진통제로 두통이 호전되지만, 간혹 두통의 정도가 너무 심하거나
자주 재발되어 혹시 뇌에 이상이 있을까 걱정이 되어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
다. 하지만 실제로 뇌에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다.
두통의 원인
두통의 가장 흔한 원인은 긴장성 두통으로, 두통으로 외래를 찾는 환자의 약
9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긴장성 두통은 주로 늦은 오후나 저녁에
잘 생기며, 자주 재발하여 매일 두통이 반복될 수도 있다. 증상은 단단한 밴드가
머리를 둘러싸고 조이는 듯하게 아프지만, 간혹 한쪽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편두통과는 달리 구토나 시각 장애, 신경학적 증상은 없으며 두
통 때문에 잠이 깨는 일은 드물다. 긴장성 두통은 스트레스, 과로, 피로, 감정적
인 문제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같은 자세로 오랫동안 앉아 있거나 서 있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편두통은 일반적으로 오해가 많은 용어로 항상 머리가 한쪽만 아프다는 뜻은
아니다. 편두통은 보통 10대에 시작하여 가끔 머리혈관이 쿵쿵 울리듯이 아프고,
속이 메스꺼워지는 위장증상을 동반하는 두통으로 수십 년 지속될 수도 있다.
단지 그 빈도가 어느 정도냐가 문제인데, 1년에 두세 번 정도라면 그때그때 증
상에 따른 치료로 충분하지만 한 달에 서너 번 이상 두통발작이 있어서 일상생
활에 지장이 많다면 지속적인 예방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고혈압이 있는 경우에도 두통이 생길 수 있으며, 이런 경우는 아침에 심
해지는 머리 뒤쪽(후두부)의 두통이 있다. 그 밖에 뇌가 파괴되어 생명이 위험해
지거나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이 와서 마비나 간질 등의 후유증이 올 수 있는 경
우로 뇌종양이나 뇌염, 뇌수막염, 또는 외상에 의한 뇌출혈 등에 의해서도 두통
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대개 1~2개월 이내에 두통이 점점 심해지거나,
열이 심하고 의식이 혼미해지는 등 전신 상태가 쇠약해진다. 이런 경우에는 뇌
컴퓨터촬영이나 MRI, 뇌척수액검사 등을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을 하여야 한다.
가정에서는 이렇게
급성두통의 경우는 어두운 방에 조용히 누워 있는 것이 좋고, 아쉬운 대로 머
리에 찬 수건을 대거나 띠로 이마를 묶어서 두피의 혈관을 압박하는 것이 임시
조치가 될 수 있다. 긴장성 두통이나 편두통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주의하여야 한다.
*수면은 충분히, 그러나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식사를 거르지 말고, 두통을 유발하는 음식은 피한다.
*운동을 규칙적으로 한다.
*술, 카페인은 가능한 피한다.
*적절한 자세를 취하며, 같은 자세로 너무 오래 앉아 있지 않도록 한다.
*두통약은 과용하지 않는다.
이럴 때는 의사에게
*최근 한두 달 이내에 두통이 점점 심해졌다.
*열이 심하고 의식이 흐려지며 구토와 전신쇠약이 동반된다.
*현저하게 체중이 늘어나거나, 시야에 이상이 있거나, 기타 시력에 변화를 느
끼거나, 전화의 목소리가 한쪽 귀에는 잘 안들리면서 두통이 동반된다면 뇌촬영
이 필요하다.
*늘 진통제를 복용해야 하는 상태이다.
*전에 아프던 두통과는 좀 다른 양상의 두통이 시작된다.
*머리를 다친 적이 있거나, 화학물질 등에 노출된 적이 있다.
*자주 발생하는 두통으로 인해 활동에 지장이 많다.
'그외 정보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숨이 차고 호흡이 곤란할 때 (0) | 2020.07.31 |
---|---|
기침이 나올 때 (0) | 2020.07.31 |
열이 날 때 (0) | 2020.07.31 |
슬기로운 보건소 이용법 (0) | 2020.07.31 |
암,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0) | 2020.07.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