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생리학

제15장 내분비 생리

by FraisGout 2020. 5. 23.

15장 내분비 생리

 

모든 생물계는 살아가는 도중에 생존을 위한 많은 역경을 이겨내어야 하는데,

이러한 생존을 위한 일이나 노력은 의식 세계에서도 행하여지지만 대부분은

특별한 형태로 분화된 선세포의 집단이 주체로 되어있는 두 분비계통에 의하여

무의식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 하나는 선세포에서 생산된 분비물을 일정한

도관을 통하여 몸밖 또는 소화관으로 배출하는 외분비선으로서, 한선, 타액선 및

췌장 등이 이에 속하고 또 하나는 내분비선으로서, 도관이 없고 생산된 물질이

혈액 내로 직접 흡수 또는 유입되어 전신헐류에 의해 신체 각 부위로 보내진다.

여기에서 생산되는 물질을 호르몬이라고 한다. 호르몬의 본 뜻은 그리이스 말의

'부추기다' 혹은 '자극하다'는 뜻인데 스타아링이 명명하였다.

호르몬이란 내분비선에서 생성되고 저장되어 있다가 몸의 필요에 따라 혈액

내로 분비되고 혈류를 따라 각 조직으로 운반되나 표적기관에만 작용하는

물질을 말한다. 호르몬의 기능은 각종 대사조절에 주된 역할을 하며 성장,

생식과 기타 세포활동을 조절하므로 내환경유지에 기여하는 것이다. 호르몬은

그 종류에 따라 다른 호르몬의 작용을 돕기도 하고 억제하기도 한다. 이와같이

호르몬끼리는 상호 관련성이 깊으므로 호르몬간의 균형이 깨어지면 내환경이

파괴되어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의 불균형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데는 균형있는 호르몬의 작용이 필수적인 것이다.

호르몬의 분자 구조는 최근에 와서 많이 규명되었는데 크게 두 종류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호르몬은 아미노산을 재료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한 개의

아미노산을 호르몬으로 전환한 것에서부터 수십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것과

많은 아미노산이 당류와 결합된 당단백으로된 아주 큰 호르몬에 이르기까지

백여종의 크고 작은 것들이 있다. 이것이 단백 호르몬인데, insulin 및 뇌하수체

호르몬 등이 속한다. 반면에 지방성 호르몬은 cholesterol을 원료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크기가 작으며 수십종이 있는데, 성 호르몬, 부신피 질 호르몬 등이

속한다.

그밖에 갑상선 호르몬, 부신수질 호르몬처럼 아미노산 두 개가 결합된 작은

호르몬으로서 steroid hormone의 작용 방식을 따르는 것도 있는데, 이것을

페놀유도체라고 한다.

내분비 계통을 연구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이용된다.

실험동물에서 특정한 내분비선을 적출하면 체내 어떤 기관의 활동 변화가

초래되는가를 보는 방법이다.

동물의 내분비선 조직을 다른 동물에 이식하거나, 그 내분비선의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서 결손증상이 호전되는가를 보고 확인한다.

임상적으로 어떤 호르몬의 결핍증을 관찰한 후 환자가 사망한 경우 시체를

부검하여 생전의 증상과 어떤 기관의 조직변화, 즉 내분비선의 비대 또는

위축을 대조함으로서 그 연관성을 연구하는 방법이다.

최근에는 내분비 기관과 혈액에서 호르몬을 검출하고 그 화학적 구조를

구명하고 동시에 구조가 유사하고 더욱 강력하고 부작용이 적은 물질을

합성하는 단계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임상적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인공적으로 합성된 황체 호르몬 제제 등이 여기에 속한다. 즉 이젠 호르몬의

인공 합성 시대로까지 발전한 것이다.

내분비 기관은 체내에 널리 퍼져 분포하고 있으나 여기에서는 주내분비선에

관한 것들만을 기술코자 한다.

 

1. 놔하수체

뇌하수체는 대뇌 아래에 매달려있는 0.5-0.6g의 작은 내분비선으로서 터어키안

내에 매몰되어 있는 주선이다. 구조상으로 두 가지 조직에서 유래되어 한

기관으로 융합된 것이다.

이 중 전엽은 발생학적으로 태생기에 인두상피로 구성된 목천정에 솟아오른

작은 라트 케낭에서 생겼고, 후엽은 대뇌의 시상하부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이들을 각각 선하수체, 신경하수체라 부르며, 기능상으로도 전연 별개의

내분비기관이다. 이중 중엽은 발생학적으로 전엽에 속하며 하등동물에서는 꽤

큰 것으로 남아있으나 사람에서는 거의 퇴화되어 있다.

 

1) 뇌하수체 전엽

뇌하수체 전엽에서는 여러 가지 호르몬이 분비된다. 성장에 관여하는

성장호르몬, 젖의 분비에 관여하는 유선자극호르몬, 내분비선 자극호르몬인

갑상선자극 호르몬,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성선을 자극하는 난포 자극호르몬,

황체 형성 호르몬 등이 있으며, 이밖에 중엽에서는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이

분비된다.

이들 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에는 GH LTH를 분비하는 호산성 세포와

FSB, LH, TSH ACTH를 분비하는 호염기성 세포, 그리고 호르몬의 분비가

없는 혐색소성 세포가 있는데, 위의 두 세포는 혐색소성 세포에서 만들어진다.

모든 호르몬은 시상하부에서 만들어진 호르몬 유리 촉진인자가 두 가지의 특수

혈관계를 거쳐 뇌하수체에 도달됨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림 15-4>에서와 같이

하나는 통상적인 혈관계의 소동맥으로부터 받은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시상하부-뇌하수체 문맥계로부터 받은 것이다. 즉 시상하부에 분포된

모세혈관은 일단 모여서 정맥이 된 후 뇌하수체 줄기를 다라 뇌하수체 전엽에

고스란히 옮겨져서 다시 모세혈관망을 이룬다. 이것을 곧 시상하부-뇌하수체

문맥계라고 한다.

성장 호르몬(GH)

성장 호르몬은 성장을 이룩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호르몬으로서, 출생시부터

일생동안 분비된다. 어른이 되면 분비량이 줄어들어 극히 적은 양이 되지만

일생동안 지속적으로 분비된다. 혈장내 GH의 양은 3mg/mg이내이며 1

생성량은 1-4mg정도이다. 이 호르몬은 주로 간에서 파괴되는데 그 속도가 빨라

한 번 분비된 GH20-30분 이내에 반 이상 소실된다. 성장 호르몬은 뼈의

골단에서 연골형성 및 뼈의 칼슘침착을 촉진하여 뼈의 성장에 따라 연성 조직의

성장도 촉진된다. 그러므로 골단선이 폐쇄되기 전, 즉 성장중에 호산성 세포에

발생된 종양으로 인하여 성장 호르몬 분비가 많아지면 거인이 되는데 이것을

거인증이라 하고, 분비가 감소되면 난장이가 된다. 그러나 골단선이 폐쇄된 후,

즉 성장이 멎은 어른에서 GH의 분비가 왕성하면 말단 비대증이 나타나 턱뼈,

광대뼈가 돌출하고 손발이 커지며 등이 굽게되는 특징있는 우거러진 골상이

된다.

한편 성장 호르몬은 신체 각부의 성장과 발육을 촉진시킨다. 즉 단백질 및

전해질 대사와 탄수화물 및 지방 대사에 관여하여 세포의 비대와 분열을

이루면서 정상시의 분비량으로 세포의 대사를 15%가량 증가시킨다고 한다.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ACTH)

ACTH는 부신피질에 있는 선세포를 자극하여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는 여러

가지 호르몬의 생산량을 증대시킨다. 만일 이 호르몬의 분비가 감퇴되면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생산이 억압되고 부산피질 자체도 위축된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이 호르몬은 갑상선을 자극하여 갑상선호르몬의 분비를 항진시킨다.

갑상선의 선세포를 증식, 비대시킨다. 만일 이 호르몬의 분비가 억제되면

thyroxine분비가 정지되고 갑상선 자체도 위축하게 된다.

성서자극 호르몬

사람에게 있어서 성선만큼 뇌하수체에 전작으로 매달려 있는 예도 드물

것이다. 사춘기전에 뇌하수체를 절제하면 성선은 전혀 자라지 못하고 소아기의

모습을 지니게 된다. 고로 남·녀 모두 정자와 난자를 생산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부속 생식기의 발달도 없고 2차 성징도 나타나지 않는다. 이것을 성적

유치증이라고 한다.

성인 남성의 뇌하수체를 적출하면 고환은 약 1/10의 크기로 위축되고, 정자의

생산은 물론 남성 호르몬의 생산도 중지된다. 여성에서는 난포의 생산이

정지되고 난자도 자라지 않는다. 또한 여성 호르몬의 생산도 중지되고 월경

주기도 없어지고 만다. 임신초기에는 임신에 필요한 난소, 황체가 사라지고

유산이 된다. 따라서 뇌하수체가 제거되면 남녀 모두 생식 능력이 사라지고 말

것이다.

이상의 모든 성선 및 성 호르몬 기능이 정상적 뇌하수체 기능의 지배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위의 증상들은 성선자극 호르몬 주사나 뇌하수체

전엽 이식을 하면 곧 회복될 것이다.

난포 자극 호르몬: 난소를 자극하여 난포의 발육과 난자의 성숙을 일으키며,

여성 호르몬인 estrogen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정소에서는 배아상피를 자극하여

정자의 생산과 발육을 촉진시킨다.

황체형성 호르몬: 여성에서는 배란을 유발한다. 즉 난포가 파열되도록 하여

성숙한 난자가 난소에서 복강으로 배출되어 난관내에 이르도록 한다.

난소에서는 황체의 성장을 촉진하여 임신중 황체를 유지하게 하는 반면에,

고환에서는 간질 세포를 자극하여 남성 호르몬인 textosterone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호르몬은 FSH와 협동하여 작용한다.

형체 자극 호르몬: 여성에서는 파열된 난포의 자리에 형성된 황체를 자극하여

progesterone분비를 촉진시킨다. progesterone은 수정된 난자가 자궁벽에 잘

착상하도록 하고 임신이 지속되도록 한다. 남성에서는 대체로 고환에 작용하여

정자 생산을 자극하는 듯 하다.

최유 호르몬은 평소에는 분비가 적어서 큰 역할이 없으나 임신 중에는 분비가

증가되어 유방발달을 촉진시키고, 분만 후에는 프로락틴 분비가 급격히

증가되어 유방을 자극하여 유즙분비를 유도하며 수유를 지속시킨다. 프로락틴의

분비는 젖을 빨므로서 신경성 반사로 유발된다. 예컨대 젖을 빠는 자극이 없을

경우 젖을 비워주지 못하므로 젖의 분비는 일찍 멎게 되는 것이다.

 

2) 뇌하수체 후엽

뇌하수체 후엽은 신경하수체로서, 호르몬의 합성보다 다른 부위에서 생산된

호르몬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적시에 분비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시상하부의

앞부분에서 생산된 호르몬이 신경 섬유를 따라 이곳에 흘러들어와 저장되어

있다가 시상하부에서 시작되는 신경 흥분이 이곳에 전도되면, 저장되었던

호르몬이 혈액 내로 방출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방식으로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는 항이뇨 호르몬과 분만촉진 호르몬이다.

항이뇨 호르몬: 이 호르몬의 중요한 생리적 작용은 원위세뇨관에서 수분의

투과성을 높여 수분의 재흡수를 촉진함으로써 요량을 감소시키는 항이뇨

작용인. 경우 ADH는 신세뇨관에서 Na^26^의 능동적 운반을 촉진시키며,

아울러 물에 대한 투과도를 높인다. 따라서 ADH의 분비가 감소되면 요붕증이

나타난다. 즉 물의 재흡수가 안되어 묽은 저장성요를 대량으로 배설하고 심한

갈증을 호소하게 된다. 요붕증 환자에게 vasopressin을 주사하면 곧 요량이

정상으로 회복된다. 실험적으로 개나 흰쥐의 뇌하수체 후엽을 절제하면

요붕증이 되며, 물을 간절히 찾고 묽은 오줌을 엄청나게 배설한다. 그러나

ADH를 주사하면 다시 회복된다.

이 호르몬을 다량으로 주사하면 혈압을 높여주는 작용이 있으므로

vasopressin이라고도 한다. ADH는 주로 사상하부의 시상상핵에서 생성된 다음

oxitocin과 같은 수송과정을 거쳐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옥시토신: Oxytocin은 시상 하부의 실방핵에서 생성되어 단백질과 결합된

분비과립의 형태로 시상하부-하수체로를 따라 후엽으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호르몬은 자궁의 평활근을 수축시키는 작용이 있다. 임신 후반기에 분비가

증가되고, 출산시에는 다량으로 분비되어 자궁수축을 촉진시키므로 태아의

분만을 돕는다. 또한 분만 후에는 자궁의 평활근 수축으로 자궁출혈을

방지하기도 한다.

수유기에는 유즙 배출 작용이 있다. 즉 어린이가 엄마의 젖꼭지를 빨면

여기에서 구심 흥분이 발새아게 되고, 이것이 시상하부에 전도되면 뇌하수체

후엽에 작용하여 oxytocin을 분비시킨다. 젖은 유방의 선세포에서 분비되어

선포내에 저장되는데, 이 선포벽의 근상피세포가 oxytocin의 작용으로 수축하게

되어 젖을 배출하게 된다. 이렇듯 옥시토신은 일련의 평활근 수축을 유발하는

호르몬이다.

 

----------282

2. 갑상선(Thyroid gland)

갑상선은 목 앞쪽에 있는 갑상연골(thyroid cartilage) 부위의

기관지(trachea)를 앞쪽으로 싸고 있는 나비 모양의 내분비선이다. 무게는 약

20g으로서 좌우 2엽이 있고 이들은 갑상선 협부(thyroid isthmus)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그림 15-6참조)갑상선에는 혈관이 매우 풍부하여 인체 조직

중에서 조직 무게당 상당히 많은 피를 공급받고 있다.(안정 상태에서의 혈류량은

5ml/min/g이다.)갑상선은 수많은 여포(follicle or acini)로 이루어 졌는데 여포

내에는 교질 용액(colloid)으로 채워져 있다.

(그림15-6) 갑상선. 생략.

전면에서 본 갑상선이다.1856년 영국의 와르톤(T.wharton)은 이 기관이

방패같이 생겼다고 하여 갑상선이라고 명명하였다. 개체 발생학적으로나

계통발생학상 맨 먼저 발생하는 것이 바로 이 기관이다.

이 교질 용액의 주성분이 바로 thyroxine 과 단백질의 결합체인 thyroglobulin

이다. 이 결합체에서 단백질이 분리되면서 소량의 thyroxine이 갑상선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으로서 thyroxine이라는 아미노산에 4분자의 요오드(iodine)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thyroxine이 혈액 속에 들어오면 혈장 단백질과 바로 결합한 후 전신을

순환하며, 말초 조직 내로 들어가 세포에 작용하게 된다. 한편 요오드(I)

갑상선 내에 있다는 사실은 1896년 독일의 화학자 바우만(E.Baumann)에 의하여

발견되었다. 물론 그때 까지는 인체내에는 요오드가 함유된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인체에는 약 30mg의 요오드가 함유되어 있으며, 갑상선에는 약 8mg

요오드가 함유되어 있다. 체내에 이러한 요오드가 부족하면 갑상선 전체가

비대하여지는 갑상선종(goiter)이 생긴다.

 

1) thyroxine의 작용

갑상선 호르몬은 신체의 모든 세포에서 신진대사를 촉진한다. thyroxine

정상적인 골격 및 근육 조직의 발달과 정신적 발육에도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이 호르몬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전신대사율이 약 1/2정도까지 떨어지며, 반대로

티록신의 분비가 많은 경우에는 신진대사 율이 약 2배까지 증가하게 된다. 고로

임상에서는 기초 대사율(basic metabolic rate,BMR)을 측정하여 갑상선의 기능

상태를 추정하기도 한다.(그림15-7참조).

----------283

Thyroxine은 각 장기에서 대사율을 증진시켜 산소 소비량을 증가시키고

체열을 많이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thyroxine이 분비되어 조직 세포까지 도달되는데는 약 3일 이상

걸리며, 이 호르몬의 작용 기간은 대체로 6~8주 정도라고 한다.

(그림15-7) 갑상선 호르몬과 기초대사량 BMR과의 관계. 생략.

 

2) thyroxine의 분비량 조절

안체가 정상적인 대사 활동을 수행하려면 일정한 수준의 thyroxine 분비가

계속되어야 한다. 갑상선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은 뇌하수체이다. 뇌하수체가

thyroxine의 분비를 조절함에는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을 생산하여 갑상선에

보내는 방법을 쓰고 있다. TSH의 분비량에 따라 갑상선의 기능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thyroxine의 분비량 조절은 결국 TSH유리

호르몬(thyrotropin-releasing hormone,TRH)의 생산량 여하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다.(그림15-8참조)

thyroxine 분비의 조절을 위해서는 thyroxineTSH와의 사이에

음성되먹이기 기전이 작용한다. 다시 말해 순환혈액 내에 thyroxine의 농도가

낮을수록 TSH생산이 촉진된다는 것이다.

예컨데 장 기간 thyroxine 분비가 너무 낮은 농도로 유지되면 뇌하수체

전엽은 많은 양의 TSH를 분비하여 갑상선의 세포를 증식 비대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보상 현상이 효과가 없어지게 되면 이른바 갑상선 기능

저하가 되는 것이다.

(그림15-8) 뇌하수체전엽과 throxine 분비의 조절. 생략.

 

3) 갑상선 기능 저하(Hypothyroidism)

갑상선 기능 저하가 가장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는 시기는 성장과 발육기이다.

신체 각부의 구성 비율과 얼굴의 정상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을 뿐 아니라 치아

형성의 중지 및 연골은 쉽게 골화되지 않아 어린이 티를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어릴 적에 갑상선 기능 저하가 오는 경우를 크레틴병(cretinism)이라 하는데,

갑상선 기능 저하를 유아기에 진단 치료하지 않으면 난쟁이(소인증)와 백치를

면치 못한다. 그것은 대뇌의 성장 발육이 가장 활발한 때가 이때인데

thyroxine이 부족하므로 이 시기를 놓쳤기 때문일 것이다.

----------284

예를 들어 올챙이는 thyroxine 없이는 탈바꿈하여 개구리로 자라지 못하며

언제나 올챙이 신세가 되고 만다.

또한 성인에서 갑상선 기능 저하가 계속되면 정신적으로 퍽 둔감하고

무관심하며, 심장 박동이 느리고 피부 온도가 내려가 싸늘하게 차지고, 건조해

있으며 전신적으로 푸석푸석 하게 부어오른다. 이러한 증상을

점액수종(Myxedema)이라고 부른다. (그림15-9참조)갑상선 기능 저하 환자는

조기 발견할 경우 갑상선 호르몬을 주사하면 치료될 수가 있다.

(그림15-9) 갑상선기능 저하 혼자의 얼굴(점액수종증). 생략.

4) 감상선 기능 항진(hyperthyroidism)

갑상선 기능이 항진되면 점액 수동과 정반대 의 현상이 나타난다. 환자의

피부는 붉게 달아올라 땀이 나고 축축해지고, 심장 박동은 빨라지고, 맥압(puls

pressure)은 증가하며 감정이 불안정하여 신경질적인 상태가 죈다. 또한 식욕이

증가하여 많이 먹지만 체중은 감소하는 증상이 나타나며, 특히 안구가 돌

출하는 기이한 모습이 된다. 이것을 안구 돌출성 갑상선종(exophthalmic goiter,

Garve's disease)이라고 부른다.(그림15-10 참조)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에 대하여는 갑상선을 부분 절제하거나, 방사선

동위원소인 요오드를 이용하여 과잉한 갑상선 세포를 파괴하여 치료할 수 있다.

(그림15-10) 안구돌출성 갑상선종. 생략.

성인에서 감상선 기능 항진이 생기면 기초대사량(BMR)

^26^10~^26^100(평균4)% 증가된다.

 

3.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s)

부갑상선(parathyroid)은 갑상연골(thyroid cartilage)과 갑상선(thyroid

gland)사이에 위치하며, 팥알 크기의 4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단백질로

parathormone(PTH,부갑상선 호르몬)을 생산하여 분비한다. 부갑상선은

갑상선과 전혀 무관하며 하나의 독립적인 내분비선으로서 상피 소체라고도

한다(그림15-11참조).

(그림15-11) 사람의 부갑상선. 생략.

갑상선의 후면에 좌우 4개가 있으며 직경 8mm되는 작은 구형의

내분비선이다.

----------285

1) Parathormone의 작용

parathormone은 뼈 속에 들어 있는 칼슘 이온을 유리시켜 혈액 중의 칼슘

농도를 높이는 작용을 하고, 신장 세뇨관에서 칼슘의 재흡수 능력을

항진시키는데 반하여 인산염(phosphate)은 재흡수 능력을 저하시킨다.

칼슘이온을 신당에서 배설이 소량이므로 혈중농도가 상승하며 인산 염은 배설이

빠르기 때문에 혈중의 인산이온 농도는 올라가지 않는다.(그림15-12참조)

(그림15-12) 칼슘과 인산염의 농도변화. 생략.

parathormone의 이와 같은 작용으로 혈약내 칼슘 이온 농도와 인산 염의

농도는 서로 반비례 관계가 있다. 즉 혈중 칼슘이온 농도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부갑상선호르몬 분비가 억제되고, 칼슘이온 농도가 낮아지면

낮아질수록 부갑상선 호르몬 분비가 촉진된다. 또한 parathormone은 소화관

내의 칼슘 이온 흡수 능력을 증진시키고 신세뇨관으로 배설되는 칼슘 이온을

억제함으로서 몸속의 칼슘 이온의 절대량을 증가시킨다. 이 기능은 비타민에

의해서 더욱 촉진된다. 만일 성장기 어린이에게 비타민 D가 부족하게 되면

체내의 칼슘 이온 총량이 부족하게 되고 구루병(rickets)이 온다.

인체내에서 칼슘의 작용을 크게 나누어 보면, 혈액응고, 골격근 및 심장근의

수축, 막투과성, 신경 근육 흥분성 전도(neuromuscular excitability), 유즙 생산,

골격과 치아 형성에 관여하는 일로서 생명 현상에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 한편

phosphate은 대사 과정에 있어서의 에너지 이동 ,체액의 pH유지 칼슘이온과

함께골격 형성에 관여한다.

부갑상선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수술로 제거될때는 parathormone의 결핍으로

혈약내 칼슘농도가 정상값보다 내려가고 만일 50%로 저하되면 전신 근육이

경련하는 강축성(tetany)이 오기도 한다. 반대로 갑상선 기능이 항진되면

골조직으로부터 칼슘이온이 많이 빠져나와 혈중 칼슘농도가 증가하여 신체여러

조직에 칼슘이온이 침착(calcification)하게 되나, 이때는 신경기능이 무디어지고

심장활동이 저하되나 이러한 정도로 칼슘농도가 높아지는 일은 거의 없다.

그러나 여성의 임신 후반기나 수유기에는 생리적으로 parathormone의 분비가

증가되는 시기이다. 이것은 태아나 유아의 골격형성에 필요한 칼슘을 공급하기

위한 것인데, 이때 음식물로서 칼슘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으면 모체의 골격이

칼슘 감소로 약화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286

한편 부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1967년 곱트(D.H.Copp,미국)

발견한 calcitonin이 있다.칼시토닌은 혈중 칼슘농도가 높아지면 PTH의 분비가

억제됨과 동시에 부갑상선에서 calcitonin 분비가 촉진되어 칼슘을 뼈속에

침착시키므로서 혈중 칼슘이온농도를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과칼슘혈 환자에게 calcitonin을 주입한 결과, 칼슘이온은 현저하게 감소되나

마그네슘이온은 변화가 없었다고 한다.

 

4. 췌장(Pancreas)

췌장(pancreas)은 하나의 외분비선(선포,acinus)으로써 췌액(pancreatic juice)

분비할뿐만아니라, 혈당을 조절하는 내분비선이기도 하다.

내분비선세포(enendocrine glandularcell)는 군데군데 모여 집단을 이루고 있는데

이를 Lalangerhans (langerhan's island)이라 하며, 한 개의 췌장에

100~200만개가 있다. 랑게르한스섬은 알파, 베타 및 감마의 3종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는데 알파세포가 전세포의 20%를 차지하고 glucagon을 분비하며,

베타세포는 75%를 차지하며 insulin을 분비하고 감마세포는 전체의 5%로서

somatostatingastrin을 함유하고 있다.(그림 15-13참조)

(그림 15-13) 췌장의 langerhans . 생략.

 

1) 인슐린

(1) 인슐린의 구조

인슐린의 분자량은 5,734로서 두 개의 아미노산사슬로 되어 있는데, A chine

21개의 아미노산으로, B chine30개의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다. A B

chine은 두 개의 s-s (disulfide linkage)로 연결되어 있으며 A chine

6,11번째 cystins-s기가 insulin의 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그림15-14참조).

(그림15-14) 사람 insulin의 구조. 생략.

(2) 인슐린의 작용

insulin의 주된 작용은 각 세포에서 세포막의 포도당에 대한 투과성을 높이는

것이다. 즉 세포에서 포도당 섭취 및 사용을 증가시켜 혈당량을 낮춤으로서

인체의 포도당 대사를 조절한다. 주로 골격근, 신장근 지방조직(adipose tissue)

및 자궁근세포에서 포도당 섭취 및 사용을 촉진시키는데 조직내로 들어간

포도당의 대사과정은 조직내로 들어간 포도당의 대사과정은 조직에 따라 달라

일부는 산화되고 근육 및 간에서는 나머지를 주로 glycogen의 형태로 저장하며

지방 조직에서는 주로 지방을 형성한다. (그림 15-15 참조).

(그림 15-15) insulin의 혈당조절작용. 생략.

----------287

한편 대뇌 세포, 소화관 점막 신장세뇨관 및 간장등에서는 효과가 없다.

대뇌는 혈액-뇌 장벽이 포도당 운반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인 것 같으나

대뇌세포의 에너지 공급원은 포도당이다. 대뇌세포막에는 insulin의 작용이 없기

때문에 대뇌에 표도당을 충분히 공급하여 정상적인 혈당농도(80~90mg/100ml of

blood)를 항상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슐린은 지방대사에 대하여 직접적인 작용은 없으나 2차 적인 작용이 있다.

즉 지방산(fatty acid)glycerol로부터 지방합성(lipogenesis)을 촉진하는데

당뇨병(diabetes melitus)일 경우에는 이 과정이 저하되어 지방의 분해가

증진되고 케톤체(keton body)가 생성된다. 이로 인해 산증(acidosis)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의 경향이 생긴다. 반대로 인슐린이 과도하게 있을

때는 세포는 에너지원으로서 필요한 분량만 소비하고 나머지는 지방질로

전환하기 때문에 비대해지게 된다.

또한, 인슐린은 혈중 아미노산의 농도를 하강 시키는데, 이는 조직내로

아미노산이 이동이 증진되어 protein 합성이 촉진되기 때문일 것이다.그러므로

인슐린 분비는 과혈당(hyperglycemia)에 의하여 촉진되지만

저혈당(hypoglycemia)에 의하여 억제됨이 분명하다.

(3) 인슐린 분비의 조절

인슐린의 분비는 전술한 것처럼 주로 혈중 포도당농도에 의존된다. 혈액의

포도당 농도가 높으면 이것이 직접 Langehans 섬의 베타 세포에 작용하여

insulin의 분비를 항진시키는데, 그 결과 glucose의 세포 내 운반이 증진되어

혈중 농도가 감소한다. 혈액 내 포도당 농도가 낮으면 반대로 insulin 분비가

억제되어 포도당의 세포막 이동이 감소되고, 그 결과 혈중 glucose 농도가

높아져서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이다.

혈중 포도당의 자극으로 췌장의 insulin을 분비하는 능력을 알아내는

임상검사법으로서 포도당 내과검사(glucose tolerance test)가 있는데, 환자에게

50g의 포도당을 일시에 투여하고 혈당량을 측정한다. 이때 정상인은 30분에서

혈당이 150~160mg/100ml에 도달하고 한 시간 이내에 회복되기 시작하며, 2시간

내외에 정상값이 되고 그 이후에는 오히려 떨어지는 저혈당반응(hypoglycemic

response)이 온다. 반면에 당뇨병 환자는 insulin을 분비할 수 없으므로

과혈당반응(hyperglycemic response)이 일어나서 혈당량이 200mg/100ml

이르며, 정상값으로 되는데 5~6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또한 insulin이 없기

때문에 저혈당반응을 유발하는 일은 전혀 없다.(그림15-16참조).

(그림 15-6) 포도당 내과 곡선. 생략.

정상인과 당뇨병 환자에게 50g의 포도당을 일시에 투여하고 혈당량을 기록한

곡선이다.

----------288

(4) 당뇨병

대개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췌장의 베타세포가 위축 또는 변성을 일으킨

것이라고 추정되는 증상으로서 인슐린이 결핍된 병적 상태가 곧

당뇨병(diabeetes mellitus)이다.

이것은 과혈당이 가당 큰 특징으로서, 과혈당으로 인하여 말초에서 포도당

사용이 감소되고 간장과 근육에서의 해당작용(glycogenolysis)이 촉진되었기

때문에 혈당치가 상승된 것으로 요(urine)에도 포도당이 나타난다(당뇨,

glycosuria).

포도당이 뇨로 나올때는 세뇨관의 수분 재흡수가 장애되어 물을 많이

배설하기 때문에 체액 및 전해질의 손실이 뒤따라서 탈수 상태가 되고 심하면

순환장애(circulatory failure)를 초래 한다. 그래서 조직의 포도당 사용이 장애를

받으면 에너지 공급을 지방 및 단백질에서 받기 때문에 영양 부족 상태가 되어

체중이 감소되고 무기력해 진다. 또한 에너지원의 부족으로 항상 공복감을

느끼게 된다. 당뇨병의 초기 증상은 당뇨, 다뇨, 갈증 피로가 수반되며, 식욕이

왕성하여 많이 먹는데도 야위어지는 소모성 질환이다. 중증이 되면 말초

신경염으로 팔다리의 감각이상이 오고 고혈압, 동맥경화, 망막출혈 등의

합병증이 나타난다. 근년의 식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한국에서도 당뇨병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며, 현재는 30~50만명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치료방법으로는 적당량의 insulin의 투여에 의하여 치료할 수 있을 것이다.

 

(2) 글루카곤

glucagon은 인슐과 반대로 혈당값을 상승시킨다. glucagon은 간장에서

당원질(glycogen)을 동원하고 insulin은 포도당을 세포에서 이용할수 있게 한다.

인슐린 및 글루카곤 분비는 직접 췌장을 관류하는 혈액의 포도당농도에 의하려

조달된다. 분비된 insulinglucagon은 대개 간장에세 파괴되는데 글루카곤이

인슐린보다 더 빨리 파괴된다. 즉 글루카곤은 수 분 만에 혈액중에서 완전히

파괴되는데 비하여 인슐린은 20분만에 90%가 파괴된다. 그러므로 혈액중에서

글루카곤의 반감기는 5~10분이고 인슐린은 10~25분 정도이다.

한편 insulinglucagon의 분비는 혈당치와 langerhan 섬의 알파세포와

베타세포 사이의 이중 음성되먹이기 기전 (negative feed-back mechanism)

의한다. 즉 혈당값이 떨어지면 알파세포가 자극되어 glucagon의 분비가

항진되고 혈당값이 높아지면 베타세포가 자극되는 결과로서 insulin 분비가

촉진되는것이다.(그림15-17참조)

(그림15-17) 인슐린과 글루카곤에 의한 혈당농도조절. 생략.

insulinglucagon의 분비는 이중음성되먹이기 기전으로 조절된다.

 

---------289

5. 부신(Adrenals, Suprarenals)

부신은 좌우 콩팥 상단에 얹혀 있는 무게 10gm 정도의 한쌍으로 된 중요한

내분비선이다. 그 표면은 섬유성 피막으로 싸여 있고 실질은 피질과 수질의

2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부신의 안쪽 속부분은 수질(medulla)이며 발생초기에

신경외배엽성(neuroectdermal)의 신경능(neural crest)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교감신경과 그 기원이 동일하다. 수질은 epinelhrinenorepinelhrine을 분비하며

수질을 싸고 있는 피질(cortex은 생식조직에서 유래하고 증배엽에서 발생하며

3층으로 구분하고 40여종의 steroid 호르몬을 생산한다. 즉 외층을 사구대 (zona

glomerulsa)라 하며 mineralocorticoid를 분비하고 중간층인 속상대(zona

fasciculata)에서는 glucorticoid를 분비하고 내층은 망상대(zona reticularis)로서

성호르몬(androgen)을 분비하며 망상대는 곧 수질로 이행된다(그림 15-18참조).

먼저 부신피질 호르몬에 대하여 설명코자 한다.

(그림15-18) 부신의 구조와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 생략.

 

1) 부신피질

(1) 염류코르티코이드(mineralocorticoids)

부갑상선이 칼슘이온농도 수준을 조절하듯 이들 호르몬은 주로 혈액의

나트륨이온, 염화이온, 칼륨이온 농도를 조절한는데 이바지한다. 특히 그

중에서도 나트륨량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aldosterone,

corticosterone deoxycorticosterone(DOC) 등의 염류코르티코이드의 작용을

가졌으나 aldosterone이 대표적인 물질로서 가장 강력하여 부신이 나타내는 염류

조종 작용의 95% 이상을 차지한다.(그림15-19참조)

알도스테론의 분비: 알도스테론은 신장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증가시키는

호르몬으로서 부족시에는 나트륨염소가 재흡수되지 못하고 오줌으로 배설되며

그 대신 칼륨이 많이 재흡수되어 체내에 축적될 것이다. 그러므로 나트륨염소

농도는 감소되고 칼륨농도는 증가될 것이다. 이와같이 aldossterone의 분비를

일으키는 자극은 1.세포외액(ECF)내의 나트륨 농도증가, 2.칼륨 농도증가, 3.세포

외액량 감소 등일 것이다. 세포외 체액의 나트륨농도가 낮아지고 칼륨농도가

높아지면 aldosterone의 분비가 촉진된다. 또한 위의 세가지 요인이 있으면

혈압이 떨어지고 신장 혈류량도 감소되어 사구체인접기구(jaxtaglomerular

apparaus,JGA)에서 renin을 합성하고 혈장단백질과 결합하여 angioten I

만든다. 이것은 혈중분해효소에 의하여 angiotensin II로 되면서 부신 피질의

사구대를 자극하여 aldosterone 분비를 촉진시킨다.

(2) 당류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s)

당류코르디코이드는 각종 stress(외상, 감염, 중독, 강한 열과 전염병과 같은

비특이적인자극)에 대한 생체의 저항성을 높여주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당류피질호르몬에는 cortisol(hydrocortisone),cortisone corticosterone

세가지가 주된 작용을 하며 cortisol이 대표적인 물질로 95%를 차지한다.

----------290

(그림 15-19) Aldosterone의 작용. 생략.

Glucocorticoids의 작용을 살펴보면 첫째로 단백질의 동원을 촉진하는 일이다.

세포막에서의 아미노산의 투과성을 높여 세포내에서 만들어진 아미노산이

세포밖으로 나가기 쉽게하여 세포외액(ECF)내의 아미노산농도를 높이고

세포에서 아미노산을 요구 할 때 쉽게 세포내로 들어가서 에너지원이 돌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새로운 세포분열에 필요한 재료를 공급하기 쉽게하고 파괴된

세포체 부분의 보수 재료로도 쓰인다.그러므로 당류피질호르몬은 조직을

파괴하는 요인에 저항하여 신체 방어 능력을 높이는 일이다.

둘째로, 이 호르몬은 지방질의 동원을 증가시킨다. 즉 지방분이 저장되는 고정

및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분이 유리되는 과정도 촉진시킨다. 그 결과 지방의

체내 저장량은 감소한다.

셋째로, 혈액내의 포도당 농도를 높인다. 즉 세포 외액 내의 아미노산과

지방분이 증가하면 간(liver)의 포도당 신생(gluconeogenesis)의 속도를

증가시키므로 간에서는 포도당을 만들어 혈액 중으로 방출하게 된다.

절식(fasting)상태하에서도 당류 피질호르몬만 분비되면 필요한 glucose의 혈중

농도가 유지되는데 신경조직은 포도당만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므로 이 작용은

신경 활동을 유지하는데 긴요한 것이다.

분비조절기전: Glucocorticoids는 신체에 가해지는 각종 스트레스에 대한

생체의 저항력을 높여주는 일이다. 고로 당류코르티코이드의 분비를 일으키게

하는 1차적인 자극은 신체에 가해진 스트레스이다.즉 신체에 가해진 유해자극은

모두 stress로서 작용한다. 이 자극은 신체 말초의 감각신경을 통해서 흥분을

시상하부에 보내고 시상하부에 있는 신경세포는 이 때 ACTH

유리요소(corticotrophin releasing factor,CRF)를 생산한다. CRF

시상부-선하수체 문맥계를 거쳐 선하수체에 이르고 ACTH를 분비케한다.

----------291

(그림15-20) 당류코르티코이드의 분비조절기전. 생략.

ACTH는 부신피질에 작용하여 당류 코르티코이드는 단백질과 지방을

동원하고 포도당 생성을 촉진하므로써 stress의 자극효과를 경감시키는 것이

된다. 그 결과 시상하부에 도달하는 흥분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혈액내의

당류코르티코이드는 반대로 ACTH 유리요소(CRF)의 생산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른바 음성 되먹이기 기전이 작용하고 있다.

한편 신체내의 cortisol의 분비량이 너무 많아지면 cushing 증후군(Cushing's

syndrome, hyperadrenalism)이 생긴다고 한다(그림15-21 참조.)

(3) 부신 Androgen

부신피질의 망상태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은 주로 Androgen인데, 성인

남자에서는 고환(testis)에서 분비되는 남성호르몬(testosterone)이 많기 때문에

그 생리적 의의는 적은 편이다.

(그림 15-2) 쿠싱증후군. 생략.

사진왼쪽이 쿠싱증후군 환자의 얼굴모습이고 오른쪽은 부신을 적출한 후의

보습이다.

----------292

이 호르몬은 고환에서 분비되는 androgen에 비하면 활성이 매우 낮으며,

분비조절은 성선자극호르몬(gonadotropic hormone: GTh)에 의하지 않고

부신피질 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RH)에 의해서 조절된다.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androgen은 남성의 제2차 성징을 발현하는

남성호르몬이다. 여성에서도 분비되나 남성의 고환에서 분비되는 testosterone

약간 다른점은 여성의 성적충동(libido)을 유발함에 있어서 난소(orary)를 모두

적출해도 성적 충동이 없어지지 않으나 부신피질까지 제거하면 성적 활동이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여성의 성충동 및 성생활억제에 이 호르몬이 필요하게

느껴진다.

또한 여성에게서 이 호르몬이 다량 분비되면 남성화하게 되고 여성의 체모의

분포에도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고 하며, 여성의 제2차 성징발현에도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호르몬은 유아에서는 성기와 그 부속기관의 발육에도

관여하는데, 이러한 부신성 성호르몬은 단백동화작용을 가지고 있다.

 

2) 부신수질

부신수질(adrenal medulla)epinephrine25%norepinephrine을 분비한다.

그러나 안정시의 혈장농도는 epinephrine0.0000006 g/l 이고 norepinephrine

농도는 0.0000003 g/l 정도인데,이 두 호르몬의 비율은 부신 수질 지배신경인

교감신경에 의해 다소 변화한다.

Norepinephrine의 작용을 혈관축소, 심장의 활동촉진, 소화관활동의 억제 및

동공확대 등이며, 에피네프린의 작용도 노르에피네프린과 거의 같으나 심장에

대한 작용은 노르에피네프린의 20배 전도 강하고 혈관축소 작용은 약한편이다.

또한 간장의 당원질 분해작용은 에피네프린이 노르에피네프린보다 강력하다.

호르몬 분비조절은 추의 , 동통, 걱정등의 정신적 흥분, 저혈압, 혈압강하 등으로

시상하부에 있는 핵이 자극되면 교감신경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작용되는

자극의 종류에 따라서 두가지 호르몬의 분비비으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저혈당

자극은 선택적으로 에피네프린만을 분비하고, 혈압강하시에는 주로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한다.참고로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구조식을

제시한다.(그림15-2참조)

(그림15-22) Epinephrinenorepinephrine의 구조식. 생략.

한편 일반적으로 부신수질 호르몬과 교감신경계의 활동과는 서로 연관성이

있다. 어떠한 이유로든지 어느 한쪽의 작용이 저하되면 다른 한쪽의 활동이

강화되어서 체내의 여러 기관의 기능을 항등하게 유지한다.

한편(15-2)는 부신피질 호르몬과 그 기능을 총괄하여 나타낸 것이고

(그림15-24)는 알도스테론과 코티속의 구조식을 나타내고 있느니 참고하여 주기

바란다.

(15-2) 부신호르몬과 기능.

해부학적구분: 수질

호르몬: Epinephrine

작용: 골격근에 영향,심장 및 혈관에 영향,탄수화물 및 지방대사

해부학적구분: 수질

호르몬: Norepinephrine

작용: 혈관축소

해부학적구분: 피질

호르몬: Glucocorticoids

작용: 지방, 단백질 및 탄수화물 대사, 간 포도당 신생증진,스트레스에 대한

저항

해부학적구분: 피질

호르몬: Mineralocorticoids

작용: 신장기능, 체액과 전해질 수지조절

해부학적기능: 피질

호르몬: Adrogen

작용: 성특징에 영향

-----------293

(그림15-23) Adrenaline 분비의 선택적 조절. 생략.

insuline에 의하여 혈당값의 변동을 일으킨 경우 아드레날린의 분비가

촉진된다. noradrenaline은 영향이 없다. 즉 저혈당 자극은 주로 아드레 날린을

현저하게 분비케한다.

 

6. 기타 내분비기관

1) 신장의 내분비기능

(1) Renin

1982Tiegerstedtbergman이 콩팥피질에서 추출한 물질을 토끼에

정맥주사 하였더니 혈압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보고 이 성분을 renin이라

명명하였다.

rinin은 일종의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세포외액(ECF)내의 나트륨량, 혈액량 및

혈압감소등의 자극에 의해 신장의 수입 세동맥벽에 있는 사구체 옆

세포(Juxtaglomerruar cell)에서 분비된다.

혈장내 globulin의 일종인 angidtensinogenrenin의 작용으로 angiotensin

I이라는 물질(아미노산 10개를 갖는 peptide)이 생기게 하고. angiotensin I

효소의 작용으로 가수분해 되면 angiotensin II가 되어서 전신의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인다.

angiotensin II의 혈압상승 작용은 강력한 것으로 노오아드레날린의 40-50배에

이른다. angiotensin II는 체내에서 angiotensinase 라는 효소에 의하여 분해

되어 혈압상승 작용을 잃는다.

(그림 15-24) 알도스테론과 코티솔의 구조. 생략.

renin은 콩팥에 유입되는 동맥혈압이 저하되면 분비가 촉진된다. 신동맥(renal

artery)이 종양이나 기타원인으로 협착을 일으켜서 통팥 혈류가 감소되면 심한

고혈압이 되느데, 이때 외과 수술에 의하여 이 협착을 제거하면 정상 혈압으로

돌아간다.

angidtensin II가 부신피질의 사구대를 자극하여 aldosterone의 분비를

촉진시켜 나트륨 재흡수를 증가시켜 세포외액량(ECF)과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렇게 되면 aldosterone 분비가 다시 낮아지는 이른바

음성되먹이기 기전(Negative feedback mechansim)이 성립된다.(그림15-25

참조).

(2) Erythropoietln

일종의 호르몬으로서 출혈이 계속되거나 고산지방 같이 산소의 농도가 적어

저산소증(anoxia)상태가 지속되면 골수에서의 적혈구 생성이 증가되며

hemoglobin의 농도가 증가한다.

이런 현상은 에리수로포이에친에 의해 야기되는데, erythropoietin은 신장에서

생성되어 골수에 작용하여 적혈구 신생을 촉진하는 물질이다. 이는 콩팥을

적출하면 혈약중에서 없어진다.

 

2) 소화기 호르몬(Gastrointestinal hormones)

(그림15-25) Aldosterone 분비를 조절하는 negative feedback mechanism.

생략.

----------294

(1) Gastrin

1906Edkins에 의해 발견된 Gastrin은 위점막과 췌장에 있는 langerhan's

island의 감마 세포에서 분비된다.

Gastrin은 위점막의 발육을 촉진시키고 위산 및 pepsin의 분비를 자극한다.

또한 단백질을 섭취했을 때와 actylcholine이나 미주신경(vagus nerve)

자극으로 그 분비가 촉진되는 반면 위장내에 산(acis)이 많으면 그 분비가

저하된다.

(2) Cholecystokinin-pancreozymine)(CCK-PZ)

CCK-PZ은 소장 상단 부위의 점막에서 분비되며, 담낭(gall bladder)

수축작용과 소화효소가 풍부한 췌액(pancreatic juice)의 분비를증가시킨다. 또한

이 호르몬은 위 내용물의 배출(gastic emptying)과 소장 및 대장의

운동성(motility)을 항진시킨다.

CCK-PZ는 십이지장 내 지방산의 존재하에 분비가 촉진되며 아미노산과

(acid)에 의해서도 분비가 촉진된다.

(3) secretin

secretinBaylissStarling(1902)에 의해 발견된 소화 호르몬으로서 소장

상단부(십이자장 근처)의 점막에서 분비되며 췌장과 담도계(biliary tract)

작용하여 특히 bicoarbdnate가 풍부한 췌액 및 담즙(blie)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또한 secretin은 위 유문부(pyrolic sphincter)를 수축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ecretin은 소장 상단부의 산도(acidity)가 증가하면 분비가 촉진되며, 지방질도

이호르몬의 분비에 약간 관계된다고 한다.

3) Relaxin

Relaxin은 임신기간동안에 난소의 황체(Corpus lateum)에 분비된다. Relaxin

치골 결합(symphysis pubis)과 자궁을 이완시키고 자궁경부를 부드럽게하여

태아의 분만을 돕는다고한다.

 

4) Prostaglandins(PG)

1934Von Eular가 사람의 정액과 면양의 정낭(seminal vesicle)에서 지방에

녹으며 혈압을 낮게 하고 소장 및 자궁근을 수축시키는 물질을 발견하여 그것을

prostaglandin(PG)이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1960bergstom이 거의 모든

신체조직으로부터 prdstaglandin을 분리하여 정제하였다.

조직에 따라 분비하는 프로스타그라딘의 종류가 다르며 현재까지 알려진 것은

14종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프로스타그라딘 A1, A2, E1, E2, F1a, F2a등이

있다.프로스타그라딘류는 호르몬들과 달리 분비한 조직에 직접 작용하므로 조직

호르몬이라고도 한다.

----------295

프로스타그란딘 AE는 혈압을 저하하는 작용이 있고 F2a는 여자에서

항체를 퇴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가 하면

양성궤양(positive ulcer)형성을 억제하기도 한다.

임신중에 양수내에 투여하면 유산이 초래되며 만삭 부인의 분만을 촉진하기도

한다. 기타 폐, 기관지등 프로스타그란딘의 분비와 작용이 없는 곳이 없으나

상세한 작용에 대하여는 아직 모르는 점이 많다.

프로스타그란딘과 길향작용이 있는 약물들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아스피린(aspirin)이다. 아스피린은 평활근을 수축시켜 통증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그란딘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진통작용을 나타낸다.

prostaglandin의 생합성과정은 arachidonic acid로부터 시작되어 prostaglandin

G2(PGG2)를 거쳐서 Prostaglandin F2를 형성하게 된다. PGEPGF는 주로

혈중에 존재하나, 생산후 혈류를 통해서 폐와 간을 한 번만 통과해도 완전히

분해되므로 생물학적 반감기는 불과 수초에 지나지 않는다. prostaglanin

자궁에서 생상되는 PGF2a가 가장효력이 강하여 황체를 퇴화시키는 작용이

있어서 동물의 발정 동기화(estrus synchronization)를 일으키는데 이용되고

있다.(그림15-20참조)

(그림15-26) prostaglandin 합성의 세가지 경로, 생략.

 

 

-----------297

'건강 정보 > 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6장 생식 및 발생  (0) 2020.05.23
제14장 신장 및 그 기능  (0) 2020.05.23
제13장 에너지대사와 체온조절  (0) 2020.05.23
제12장 소화(Digestion)  (0) 2020.05.23
제11장 호흡 (Respiration)  (0) 2020.05.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