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약의 성미라 하면 옛사람들이 본 성분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보약의 성미
도 다른 모든 동약들과 마찬가지로 임상응용의 오랜 실천과정을 거쳐 황인되
었다.
동의학에서 말하는 보기약과 보혈약은 대체로 성미가 달며 따스하거나 또는
매우며 뜨겁다. 보혈약과 보음약은 많은 경우 성미가 달며 평하거나 또는 짜
며 차다.
보약이 가지는 단맛은 기와 혈을 보하고 매운맛은 기를 잘 통하게 하며 한
곳에 뭉쳐 있는 기를 헤쳐준다. 성질이 땃,하거나 또는 뜨거운 보약들은 양
이 허한 증상과 기운이 모자라는 증상이 있을 때에 필요하다.
혈이 허한 사람은 많은 경우 음허증을 겸하는데 이렇게 되면 음ㅎ서로 오는
내열이 있게 된다. 이때에는 성미가 달며 평한 보약을 쓰는 것과 함께 성미
가 짜고 찬 약을 겸해 써야 한다. 왜냐하면 짜고 찬 약은 음허로 생긴 내열
을 잘 없애기 때문이다.
건강 정보/보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