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는 통상 변을 보는 횟수가 1주에 2~3번 미만인 경우를 말하나, 배변횟수
외에도 배변시 과도한 힘을 주어야 되는가, 변이 굳은가, 아랫배가 아픈가 또는
충분히 변을 보지 못한 느낌(후중감)이 남는가의 여부도 중요하다.
여행 등으로 환경이 변하거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후 또는 장염을 알고 난
후에 일시적인 변비가 것은 흔하고 별다른 치료 없이 회복되므로 여기서는 만성
적인 변비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하겠다.
변비는 왜 생기나
특별한 질병이 없는 경우(단순 만성변비)
*식사량이 적거나 대변으로 배설될 찌꺼기 (식물성 섬유질)가 적인 식사를 할
때
*부적절한 배변습관-변의를 느낄 때 자주 참는 것은 변 자체를 더욱 굳게 만
들고 직장의 기능을 약화시키므로 변비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아침시간에 바쁜
현대인은 대변을 여유 있게 볼 충분한 시간을 갖기 못하고 축근해야 하는 때가
많다. 특히 여성들은 집 밖에서 대변을 보기가 불편한 경우가 많아 장기간 참는
일 흔하다.
*과민성대장증후군-대장에 특별한 질환이 없이 대장 운동기능의 장애로 가끔
아랫배가 사르르 아프고 가스가 차며 설사 또는 변비가 주증상이다.
*다른 질병이나 노쇠로 계속 누워 있는 상태이거나 배근육의 힘이 떨어져 배
변시에 충분히 힘을 줄 수 없을 때
*복용하는 약물에 의한 경우-제일 흔한 경우는 부적절한 변비약(하제)의 남용
이다. 보통 일반인들이 약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는 변비약은 변비약이라기보다
는 강한 하제(설사를 일으키는 약)로 당장의 효과는 좋으나 장의 운동기능을 약
화시켜 변비가 점점 심해져 필요한 약의 용량이 늘어나고 일부 약제는 장의 변
형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 외에 많은 약들이 변비를 일으키나 대표적인 약물로
는 진해제로 쓰이는 코데인, 철분 빈혈약, 제산제, 진통제, 일부 고혈압약, 항우울
제 등이다.
질병에 의한 경우
*대장암, 궤양성 대장염 등의 대장질환-변비가 점점 심해지면서 대변의 굵기
가 가늘어지거나 대변에 피가 섞이는 경우에는 대장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치열, 치루, 농양, 탈홍 등의 항문질환
*당뇨병,갑상선기능저하증,중풍,신부전증 등의 전신 질환
가정에서는 이렇게
*식물성 섬유질이 많은 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는다. 쌀보다 섬유소가 많은 보
리나 현미로 밥을 지어 먹는 것도 좋다.
*충분히 물을 마신다. 특히 아침에 물을 마시는 것은 장운동을 촉진시킨다.
*배변습관을 개선한다. 변이 마렵지 않더라도 매일 일정한 시간에 변을 보도
록 시도해 본다. 보통 아침 일찍 일어나 가벼운 운동을 하고 아침 식사 후에 충
분한 시간적인 여유를 갖고 시도해 보는 것이 좋다. 변을 반드시 보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무리하게 힘을 주는 것은 바람직하고 않고 자연스럽게 변이 나오도
록 유도해 본다. 읽을 거리를 가지고 들어가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심한 변비의 경우에는 위의 방법만으로 변비가 곧 없어지기는 어려워 처음에
는 약물의 도움이 필요하다. 섬유소 성분의 변비약(차전차 껍질로 만든 약으로
약국에서 구할 수 있다)은 장기간 사용해도 큰 부작용이 없으나 다른 하제처럼
즉시 효과가 나오지않고 꾸준히 복용해야 서서히 변이 무르게 나온다. 즉시 효
과가 있는 변비약의 사용은 피해야 한다. 변을 오래 보지 못해 너무 굳어 있어
나오기 힘든 경우에는 우선 관장을 할 수 있다.
*변비를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약제를 피한다.
이럴 때는 의사에게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거나 점점 대변이 가늘어지는 경우
*섬유소 성분의 변비약을 꾸준히 복용해도 변비가 좋아지지 않을 때
*단순 만성변비가 아니고 다른 원인 질환이 의심될 경우
그외 정보/상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