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외 정보/상식

만성기관지염

by Healing New 2020. 8. 1.

  만성기관지염이란 기관이나 기관지내에 기침을 일으킬 정도로 매우 많은 양의 
점액이 생산되는  상태로 의학적으로는 기침,  가래가 1년에 3개월  이상 나오고 
그것이 최소한 2년  이상 지속될 때 진단한다. 가래는 묽은  경우도 있고 진하고 
누련 경우도 있으며, 기침은  지속적이고 대개 가래가 끓는 기침을 한다. 이질환
의 초기에는 겨울철에만 기침을 하나  질환이 더 진행됨에 따라 기침을 하는 기
간이 더 늘어나 나중에는 일년 내내 기침을  할 수도 있다. 호흡기능이 감소되기
도 하여 때로 힘든 일이나 운동을 할 때  숨이 찰 수도 있다. 진단은 증상만으로 
할 수 있으며, 가슴 X- 레이 촬영과 폐기능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만성기관지염은 왜 생기나?
  기관지에 만성적인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원인요인들이 만성기관지염을 
일으킨다.
  *흡연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담배를  피우면 기관지 청소를 담당하는 섬모들의 운동
이 저하되며 기관지가 수축하고  기관지를 보호하는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결
국 기관지염이 발생하게 된다. 간접흡연이나 흔히  말하는 뻐끔담배의 경우도 기
관지에 거의 같은 해를 끼치게 되며, 특히  어릴 때 담배연기를 마시면 만성기관
지염이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진다고 한다.  따라서 가족이나 주변사람의 건강
을 위해서도 담배는 피우지 않는 것이 좋다.
  *기타 원인
  대기오염이나 작업장내의 유해물질( 먼지,  유독 가스 등) 이 기관지염을 일으
킬 수  있다. 어릴 때의 호흡기  감염은 훗날 만성기관지염을 앓게  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고, 영양결핍도 만성기관지염의 발생을  촉진시킨다 또 선천적인 기관
지 보호인자 결핍이 만성기관지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가정에서는 이렇게
  *호흡기를 자극하는 물질을 들여 마시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만일 담배를 피운
다면 반드시 담배를 끊어야 한다. 공기오염이 심한 환경 속에서 일을 한다면, 환
기를 시키고 마스크를 착용하며  때로는 업무를 변경시키는 것도 고려하는 것이 
좋다.
  *영양 섭취에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가래를 
배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온도나 습도를  갑작스럽게 변화시키지 않도록 주의한
다.
  *적절한 습도유지 및 수분  섭취는 기관지를 보호하고 가래를 배출하는 데 도
움이 된다. 온도나 습도를 갑작스럽게 변화시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쉬기만 하는  것보다는 본인에 적합한 운동과  활동을 하는 것이 호흡기능과 
신체기능 유지, 향상에  더 도움이 된다. 그러나  크게 웃거나 크게 쇠 지르거나 
심한 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모든 행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복시호흡으로 횡경막의 운동을 증가시키면 폐기능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되며, 
입술을 모아서 천천히 숨을 내쉬는 방법도 호흡곤란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
다.
  *만성기관지염을 가진 사람은 독감이나  폐구균성 폐렴에 결릴 경우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며, 사망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따라서 만성기관지염이  있는 사람은 
독감(인플루엔자) 예방주사와  폐렴(폐렴구균에 의한) 예방주사를  맞는 것이 좋
다.
  이럴 ㄸ는 의사에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 보는 것이 좋겠다.
  *열이 있을 때
  *기침을 하지 않고 활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숨이 찰 때 
  * 몸이 부을 때
]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올 때
  *가슴이 아프고 그 정도가 점점 더 심해질 때

'그외 정보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핵  (0) 2020.08.03
독감:인플루엔자  (0) 2020.08.03
감기  (0) 2020.08.01
치질  (0) 2020.08.01
간염  (0) 2020.08.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