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외 정보/반지요법

제6장 손, 눈의 생김새에 따른 반지착용법

by Healing New 2020. 6. 16.

      제6장 손, 눈의 생김새에 따른 반지착용법

    1. 손의 모양으로 건강을 아는 법

  (1) 엄지손가락의 모양이, 뱀의 머리 모양 같고 특별히 짧은 사람
  - 성취욕이 강하고 부지런하며 영리하다.
  - 활동성이 강하다.
  - 소화기가 약하므로 음식을 조심한다.
  *반지의 위치
  #1 오른손보다 왼손 중지가 약한 사람 
그림생략
  #2 왼손보다 오른손 중지가 약한 사람 
그림생략

    (2) 다섯손가락 중에서 유독 검지가 빈약한 사람 
  - 겉으로는 강해 보이지만 심장이 약하고 소심하다.
  - 소화력은 좋으나 약해질 수 있으니 절도 있는 식사방법을 택해야 한다.
    * 반지의 위치
  #1 오른손보다 왼손 검지가 약한 사람
그림생략
  #2 왼손보다 오른손 검지가 약한 사람
그림생략

    (3) 다섯손가락 중 중지가 굵고 큰 사람 
  - 고집이 세고 침착하다.
  - 일을 함에 있어서 과감한 결단력이 있다.
  -소화력은 좋으나 과식의 경향이 있으므로 음식을 절제해야 한다.
  (*음기가 많다).

  #1 오른손보다 왼손 중지가 굵고 강하며, 오른손의 약지가 빈약한 사람
그림생략
  #2 왼손보다 오른손의 중지가 강하며, 왼손의 약지가 약한 사람 
그림생략
  #3 양손의 중지가 빈약한 사람
  (* 얼굴에 화기가 없이 창백하며 연변을 자주 보고 소화력이 약한 사람)
그림생략

    (4) 다섯손가락 중 인지가 약한 사람
  - 머리가 영리하나 매사에 비판적이고 의욕이 약하다. 폐가 약함.
  * 반지의 위치
  #1 오른손보다 왼손 인지가 약한 사람
그림생략
  #2 왼손보다 오른손 인지가 약한 사람
그림생략
  #3 얼굴이 창백하고 어깨 통증과 불면증을 겪는 사람(묽은 변이 잦은 사람)
그림생략
  #4 소화력이 약하고 하복부가 차고 기력이 저하된 사람
그림생략

    (5) 다섯손가락 중 양쪽 약지가 가늘고 약한 사람
  - 겁이 많고 소심한 반면에 고집이 있다.
  - 신장 기능이 약하다 
  (아래 그림처럼 약지가 구부러진 사람은 통뼈에 정력이 강하다. )
  * 반지의 위치
  #1 오른손보다 왼손의 약지가 약한 사람
그림생략
  #2 왼손보다 오른손의 약지가 약한 사람
그림생략
  #3 두통이나 불면이 잦고 속이 냉하며 기력 저하로 묽은 변이 잦은 사람
그림생략
  #4 약지가 가늘거나 빈약한 사람(복통 없이 기력 저하로 묽은 변이 잦은 사람)
그림생략
  #5 소화력은 좋으나 마음이 불안하고 집중이 잘 안 되는 사람
그림생략
  #6 양손 중에 마디가 굵고 못생긴 짝손이 있으면 건강이 좋지 않다.
  (마디가 굵고 못생긴 손가락에 은반지 착용)
그림생략

    2. 눈을 보고 건강을 아는 법

  예로부터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하였다.
  촉촉이 젖은, 맑고 초롱초롱한 눈은 그 사람의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말하는 듯하다.
  인체기관 가운데 가장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바로 눈이다.
  따라서 눈에 광택이 없어지거나 충혈이 된다거나 시력이 갑자기 나빠질 때는 건강에 이상 신호가 왔다고 보는 것이 좋다.
  이 장에서는 눈을 보고 건강 여부를 알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눈동자 및 눈자위 
  - 눈에 광채가 없어지고 힘이 없으면 심신과로에 의한 심계항진 및 무기력 증세가 있다.
  - 눈에 번쩍거리는 광채가 나면서(특히 눈동자의 흰자위) 초점이 잘 안 잡히고 한곳만을 응시하거나 아래만 보는 경우는 정신이상성 우울증이며 몸이 냉한 사람이 많다. 두리번거리면서 안절부절 못하거나 말이 많은 경우는 유전적으로 그런 경향이 있거나 몹시 놀랐을 때 혹은 심한 공포를 겪고 난 후의 후유증일 때가 많다. 이것은 한열이 왕래하는 조울 증상이다.
  - 눈의 흰자위가 충혈되는 것은 정신적 자극에 의한 흥분, 수면 부족, 뇌의 충격, 안질 등 때문이다.
  - 눈동자가 흐려지는 것은 노인에게 많은 시력 감퇴 현상이다.
  - 눈동자 및 흰자위에 황색 반점이 생기는 것은 황달이고, 눈동자가 튀어나오는 것은 바세도우씨(갑상선항진) 병이다.
  - 흰자위가 창백하고 검은자위에 광채가 없으면 폐에 이상이 있고 흰자위에 검푸른 색이 돌면 간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이다.
  - 눈자위 색과 안면의 색이 정반대일 때는 가벼운 증세처럼 보이더라도 난치병이거나 중병일 때가 많다.

  - 눈이 항상 마르는 것은 뇌질환 아니면 비뇨기 이상이며, 눈이 부시고 눈물이 많이 나는 것은 간장, 위장에 열이 많기 때문이다.
  - 눈동자가 커지는 것은 신장에 수분대사 이상이 있어서 어지러움증을 느끼기 때문이다.
  - 눈이 붉은 것은 심장병, 흰 것은 폐병, 푸른 것은 간장병, 누르스름한 것은 
소화기병, 검은 것은 신장병일 가능성이 많다.

  눈 주위의 색 
  - 눈 주위가 푸르거나 검으면 배가 냉하고 어혈이 있으며 쉬 피로를 느낀다.
  - 과식, 과로가 장기간 계속될 때도 눈 주위가 푸르거나 검어진다.
  - 눈초리에 붉은색이 있으면 음식에 체한 것이다.

  눈꺼풀의 상태
  - 아침에 일어나 눈을 뜰 때 무거운 듯한 느낌이 들면 부종이다.
  -눈꺼풀이 갑자기 쑥 들어간 것은 콜레라 설사, 식중독 설사 등의 후유증으로 탈진될 때이다.
  - 눈꺼풀이 아래로 처지고, 깜박이기가 힘들며 눈물이 나는 것은 안면신경 마비이다.
  - 눈을 자주 깜박이는 사람 중에는 색맹이 많다.

  (1) 안구가 정중앙에 있고 눈초리가 올라갔으며 많고 깨끗한 눈은 머리도 좋고 건강하나 자만심이 강하고 교만하여 항상 외롭다.
그림생략
  (2) 안구가 정중앙에 있으며 눈초리가 처지고 맑은 눈은 침착하고 생각이 깊으나 게으른 편이다.
그림생략
  (3) 안구가 바깥으로 쏠려 있는 사람은 기력이 없을 때는 암을 조심해야 하고 특히 약물에 중독된 경우가 많다.
그림생략
  * 반지의 위치
  #1 몸이 비대하고 소변 보기가 힘들며 기력이 없고 마음이 늘 불안한 사람
그림생략
  #2 체중이 약간 높은 편으로 특히 소변 보기가 힘든 사람 
그림생략
  #3 대변이 묽게 나오고 속이 냉한 사람
그림생략
  #4 심장박동이 약하고 식욕이 없는 사람 
그림생략
  #5 기력이 약하고 하지가 차고 힘이 없는 사람 
그림생략

  (4) 안구가 코쪽으로 쏠려 있는 사람 중 고혈압 환자는 혈압이 갑자기 높아져 쓰러질 위험이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안구가 안쪽으로 쏠려온다는 것은 교감신경이 예민해져 있다는 증거이다.
그림생략

  * 반지의 위치
  #1 가끔씩 머리가 아프거나 됫목이 당긴다.
그림생략
  #2 몸이 냉하고 빈혈이 있는 사람 
그림생략

  (5) 어느 한쪽이 기울어진 눈은 당뇨병 환자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데 많이 기울수록 당뇨가 오래되었다는 표시이다. 대개 왼쪽 눈이 기울어지는 예가 많다.
그림생략

  * 반지의 위치
  #1건강하고 식욕이 있으며 상기가 있는 사람 (*양발 넷째발가락에 금실)
그림생략
  #2 체력은 강하나 하복부가 냉하고 빈혈이 있는 사람 
그림생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