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혈이라 함은 엄격하게는 정상적인 월경이 아닌 비정상적인 자궁출혈을 의미
하나, 정상적인 월경도 개인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무에 정의하
기가 간단치 않아서 정상적인 월경의 양상을 벗어난 경우를 일괄하여 하혈이라
한다. 정상 월경주기는 월경이 끝난 이후부터 배란일 전까지의 황체기와 배란
이후부터 월경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여포기로 나뉘는데, 황체기는 14일로 비교
적 일정하나, 여포기는 변동이 있을 수 있어 보통 월경주기는 21~40일 정도이며
출혈기간은 3~7일, 출혈량은 80ml를 초과하지 않는다. 하혈은 적절한 치료에 앞
서 원인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한데 이 때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해야 한
다.
첫째, 출혈이 발생한 부위가 자궁인가? 아니면 그 이외의 부위인가?
둘째, 자궁출혈이라면 정상적인 배란이 동반되며, 기질적인 병변이 있어서 발
생하는 것인가?
셋째, 기질적인 병변에서 오는 출혈이 아니라면 무배란성인가? 배란성인가?
하혈은 왜 생기는가?
나이별로 하혈의 원인을 알아보자
*신생아기
주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일어난다.
*유아기
생식기의 외상이나 이물질, 질염에 의해 발생하나 각혹 종양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다.
*사춘기
일시적인 시상하부의 미성숙이 원인인 경우가 많아 수개월이 지나면 보통 정
상 월경주기로 돌아오나, 불규칙한 출혈이 계속될 겨우에는 다낭성 난소질완을
배제해 주어야 한다.
*가임기
임신과 관련하여 생길 수 있는 것으로는 자궁외임신과 유산, 융모성 질완이
있으며, 내분비학적 원인에 의한 배란성 출혈에는 종양, 염증성 질환과 출혈성
혈액질환, 항응고제 사용, 자궁내피임장치, 혈액투석 등이 있으며 여포기나 황체
기가 단축되어 나타나는 빈발월경과 지속성 황체에 의한 경우가 있다. 하혈이
월경곤란증이나. 월경전과 같은 유방압통을 동반하거나 일정한 주기성을 띠고
발생하며, 다소의 정서적 불안 등을 동반하는 경우는 배란성 하혈이기 쉽다. 정
상적인 배란을 방해하여 나타나는 무배란성 출혈은 대개 일시적이고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외인성 스테로이드 투여, 만성질환이나 영양 불량과 비타민결핍증,
조기난소부전 그리고 정상적인 난포발달의 부진에 의한 다낭성 난소질환 때문이
다.
*페경기
페경 전기에는 난소기능의 장애로 월경간격이 단축 되거나 불규칙적이고 우발적
인 점상출혈이 나타날 수 있지만 계속될 겨우는 자궁내막견관암이나 자궁견관암
을 의심해야 하고 외인성 에스트로겐이나 위축성 질염, 난소암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하혈의 치료
하혈은 내분비학적 기능 이상뿐만 아니라 생식기관의 기질적 병변, 임신과 그
합병증 및 혈액질환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진찰을 받아
원인적 진단을 내린 후 그에 따른 개별화된 치료를 받아야 한다. 급히 치료를
받아야 하는 급성하혈의 원인으로는 임신의 합병증, 생식기계통의 종양, 혈액질
환 등이 있는데, 이때는 빨리 진단을 내린 후 원인에 ㄸ른 즉각적인 치료를 하
지 않으면 생명까지 위협받게 된다. 이런 원인이 아닐 ㄸ는 진단에 따른 개별화
된 치료를 시행한다. 하혈은 정신적인 긴장이나 약물투여, 피임법, 임신, 출혈성
질환, 영양장애 등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 나이별로는 신생아기나 초경 후, 폐
경 직적에 있는 하혈은 무배란성 하혈로 대부분 에스트로겐만의 과도한 자극이
있은 후에 이 호르몬의 쇠퇴 또는 감소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고 일시적이어
수개월내에 없어지므로 관찰만으로 가능하며, 성숙한 여성의 경우 결혼이나 성
생활의 문제, 긴장과 같은 정신적인 원인 또는 이혼, 알코올중독증, 약물중독 등
도 주요원인이 되므로 이런 원인이 있을 경우 그 원인 제거로 치료가 된다.
그외 정보/상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