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보약21

8. 보약의 약리 현대의학적인 견지에서 본 보약의 약리는 몸의 전반적 기능을 잘 조절하며 도와주어 그 기능을 높이고 병세의 회복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데 있다. 보약의 이러한 작용은 일반적으로 말해서 그 속에 들어있는 어느 한 성분에 의해서가 아니라 여러가지 일반성분과 특수성분들의 종합적인 작용에 의하여 나타난다. 보약의 약리작용을 지금까지 도달된 현대적 연구의 성과에 기초하여 귀납하 면 다음과 같다. * 보약은 사람몸의 여러 장기조직들을 자극하여 약해진 기능을 높여 주며 ㅁ 에 필요한 여러가지 영양물질을 보충해준다. 그리하여 몸을 좋아지게 하고 든든하게 만든다. 이러한 작용은 주로 보약에 들어있는 단백질, 지방, 아미노산, 비타민 호르몬양물질, 미량원소 등을 비롯한 일반성분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보약들에 들어있는.. 2020. 6. 8.
7. 보약의 약효 동의학적인 견지에서 본 보약의 약효는 부족해진 인체의 음양기혈을 보충하며 내장의 기능을 바로 잡고 음양기혈의 부족으로 생긴 여러가지 병증을 낫게 하는 데 있다. 양허증은 대체로 기허증을 겸하고 기허증은 결국에 가서 양허증을 겸한다. 또 한 음허증은 많은 경우 혈허증을 겸하고 혈허증은 결국 음허증을 일으킨다. 그렇기 때문에 보기약, 보양약을 함께 처방하고 보음약, 보혈약을 함께 처방하 여야 효력을 잘 나타낸다. 혈허증 치료 때 보기약을 겸해 쓰는 것은 기가 왕성 해야 혈이 생성될 수 있고 혈을 제 궤도 따라 돌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음양기혈의 부족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영양을 주고 받으므로 임상에서는 환자의 병세에 따라 보기약, 보혈약, 보음약을 유기적으로 배합해 서 써야 보약의 작용을 .. 2020. 6. 8.
6. 보약의 귀경 귀경이란 해당 약물이 들어가 작용을 나타내는 곳을 가리켜 하는 말이다. 이 것도 옛사람들의 경험적 산물로서 아직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못했어도 약물이 용에서 일정한 참고가치를 가진다. 보기약은 대체로 비경과 폐경에 들어간다. 이것은 폐와 비의 생리적 기능이 기허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폐는 온몸의 기를 주관한다. 이 기능은 음식물로부터 알맹이, 즉 정미로운 물질을 흡수하여 보내주는 조건에서만 그 수행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폐가 비 위로부터 수곡의 기를 충분히 받아들일 때에만 각 장기들에 보내줄 기를 만들 어 온몸에 골고루 퍼지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와 폐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온몸의 기를 조절한다. 폐에 잘 작용하는 보기약이 비경에도 들어가고 비에 잘 작용하는 보기약이 폐경에도 들어.. 2020. 6. 8.
5. 보약의 성분 몸을 든든하게 하며 병을 미연에 막을 목적으로 쓰이는 보약들에는 사람몸에 좋은 여러가지 성분들이 들어있다. 보약의 성분이란 현대적 방법으로 여러 보약 들에서 갈라낸 이러저러한 물질들을 말하는데 보통 일반성분과 특수성분으로 갈라 본다. 보약의 일반성분은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기본물질로서 수분, 단백질, 탄수 화물, 유기산, 아미노산, 미량원소, 비타민류, 기름, 납, 색소, 수지, 스테로이드 물질, 세포자극물질, 핵산대사에 참가하는 물질, 호르몬양물질 등이다. 보약재에 들어있는 이러한 일반성분들은 단순히 영양을 보충해주는 영양작용만 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인체내에서도 식물을 싱싱하게 하던 때와 같은 활성효과를 나타내므로 결국 인체에 좋은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이러한 일반 성 분들은 보혈약, 보.. 2020. 6. 8.
4. 보약의 법제 산지에서 1차 가공된 보약재들은 임상에 쓰기에 앞서 흔히 2차 가공 공정을 거치는데 이것을 법제라고 한다. 보약을 법제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보약의 효능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동의고전문헌들에 적혀 있는 방법대로 법제를 하여 쓰면 그대로 쓰는 경우보다 보약으로서의 약효가 높아진다. 예를 들면 보양약인 두충의 조직 안에는 많은 양의 점액성 수지가 들어 있으므로 그 대로 쓰는 경우는 이것 때문에 약의 유효성분이 잘 우러나지 못한다. 그러나 옛날 방법대로 볶아서 쓰면 수지가 없어지므로 유효성분이 잘 우러나와 효력이 높아진다. 삼계탕, 황기닭찜도 결국은 유효성분을 잘 우려내어 효력을 더 높이 자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보약의 약성분을 변화시켜 보하는 작용을 잘 나타나게 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지황.. 2020. 6. 8.
3. 보약의 성미 보약의 성미라 하면 옛사람들이 본 성분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보약의 성미 도 다른 모든 동약들과 마찬가지로 임상응용의 오랜 실천과정을 거쳐 황인되 었다. 동의학에서 말하는 보기약과 보혈약은 대체로 성미가 달며 따스하거나 또는 매우며 뜨겁다. 보혈약과 보음약은 많은 경우 성미가 달며 평하거나 또는 짜 며 차다. 보약이 가지는 단맛은 기와 혈을 보하고 매운맛은 기를 잘 통하게 하며 한 곳에 뭉쳐 있는 기를 헤쳐준다. 성질이 땃,하거나 또는 뜨거운 보약들은 양 이 허한 증상과 기운이 모자라는 증상이 있을 때에 필요하다. 혈이 허한 사람은 많은 경우 음허증을 겸하는데 이렇게 되면 음ㅎ서로 오는 내열이 있게 된다. 이때에는 성미가 달며 평한 보약을 쓰는 것과 함께 성미 가 짜고 찬 약을 겸해 써야 한다. 왜냐하면.. 2020.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