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 나라의 개국신화와 민족들의 창조신화를 보면 공통점이 있다. 위치는 대부분 산이며, 커다란
늘 푸른 나무가 있다. 그 나무는 의례히 곧게 자라며 사철 푸르고 단단한 향 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들이다.
인류의 역사가 시작되면서 이 향 나무를 경외시 하였다는 의미인데, 신은 하늘에 존재하고 계시며,
높은 산과 그 산위에 곧게 높이 자란 향나무가 하늘에 계신 신과 더 가까이 할 수 있기 때문에 향
나무가지를 사름으로써 신과 인간간의 다리를 놓아 인간의 기원을 들어줄 것이라고 믿어왔다.
향은 영어로 '퍼퓸(PERFUME)'인데, '퍼퓸'은 휴머즈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하였고 휴머즈라는 어원은
[연기를 낸다]라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향의 의미는 향나무를 피운데서 유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개국신화인 단군신화도 태백산(백두산) 꼭대기 단목숲이 있는 곳이 첫 도읍지임을
밝히고 있다. 단목은 박달나무를 말하며, 자단, 백단을 만드는 향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다.
향은 애초에는 종교의식에 사용하였다. 신의 강림을 위해 향을 피우는 한편 종교의식을 치르는 자가
신체를 청결히 하고 향 바르거나 쓰임으로서 평상시와 다른 차림을 하는 동시에 위엄을 갖추는데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종교의식에서 비롯된 향료는 고대사회에 와서는 향의 냄새가 죽은 사람에게
발생하는 악취제거 효과 그리고 향교가 지닌 방부, 살균 효과로 인하여 산 사람보다 죽은 사람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천연향류, 특히 고급향료의 생산량이 작고 값이 비쌌기 때문에
대중화되지 못하고, 왕과 귀족등 특수한 신분에만 한정되어 사용하였다. 인도와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는
일찍부터향을 사용해왔다. AD372년경 고구려의 한 승려가 중국에서 향료를 가져오면서 시작된
우리나라의 향의 역사는 이미 신라시대때 귀부인들이 향낭을 몸에 지닐 정도로 향료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종교의식의 단계를 벗어나 아름다운 냄새를 발산시키기 위해 또는 신체의 건강과 성적 쾌락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사용계층도 상류층과 하류층의 남녀노소까지 확산되었다.사용한 향료는 천연향료로서
향료를 알코올에 용해시킨 향수와는 달리 향식물을 짜서 만든 천연 화정유 였거나, 향료의 분말과
분말을 응고시켜 만든것. 향료를 기름에 배합한것. 구φ 향물질 그 자체였다. 그러므로 이들을 병에
담거나 향로에 사르거나 주머니에 담아찼다. 신라, 백제, 고구려, 고려, 조선조 시대때를 고찰해보면
향유병과 향로가 많이 제조되었으며, 향낭노리개가 유행 하였다고한다. 그리고 향의 분말을 몸에 뿌린탓에
머리카락과 옷이 하얀 상태였는데 이러한 모습이 바로 상류층의 상징이기도했다.
'그외 정보 > 향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수의 처음선택은? (0) | 2020.06.02 |
---|---|
올바른 향수 사용법 (0) | 2020.06.02 |
헝거리 워터에서 시작. (0) | 2020.06.02 |
사향이란... (0) | 2020.06.01 |
향수는 자주 바꾸는 것이 아니다 (0) | 2020.06.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