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에서 자녀가 두통을 호소하게 되면 부모는 고민을 하게 된다. 혹시 머리
에 이상이 생긴 것은 아닌지 , 큰 병의 한 증상은 아닌지 고민하게 되고 병원을
찾게 된다. 특히 소아는 두통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부모
는 더욱 당황하기 쉽다.
두통의 종류와 원인
*발열을 동반하는 급성질환과 관련된 두통
감기와 같은 가벼운 지로한에서 뇌막염에 이르기까지 질환의 종류는 매우 다
양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원인이 되는 질환을 제거하면 두통이 사라진다.
*정신적 두통 혹은 긴장성 두통
소아에게 어떠한 고민거리나 정신적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환경에서는 흔히 두
통을 호소하게 되고 이 경우에는 원인이 제거되면 두통도 사라진다. 즉 학교 시
험, 가정이나 교우 관계에 있어서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두통이 심해지고 재미
있게 놀 때에는 두통이 없어진다.
*눈, 코, 귀등 머리 주변기관의 이상과 관련된 두통
근시 등 눈의 이상이 오는 경우에도 두통이 오는데 근시의 경우에는 안경을
맞추어 주면 두통이 사라진다. 비염이나 부비동염(축농증)의 경우에도 두통을 흔
히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기타 귀나 치아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두통을 호소
할 수 있다.
*경련성 질환
경련성 질환을 가진 환자가 경련의 한 증상으로 혹은 경련 후에 두통을 호소
할 수 있다.
*외상 후 두통
머리에 타박상을 입은 후 두통을 호소할 수 있는데 대개는 시간이 지남에 따
라 두통은 감소된다.
*소아도 편두통이나 외압상승에 의한 두통을 호소할 수 있다.
가정에서는 이렇게
*위에서 설명한 두통의 특징을 기억하면서 자녀를 관찰하면 도움이 되는데 실
제로 병원을 찾는 소아 두통 환자들 중에는 정신적 두통, 눈이나 코의 이상, 편
두통의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정신적 두통의 경우에는 대개 가정에서 자녀
에게 관심을 가지고 대해 주면 증상의 호전을 볼 수 있다.
*눈이나 코의 이상. 편두통의 경우에도 가정이나 1차 의료기관에서 치료가 가
능하므로 부모의 과다한 걱정은 필요 없다.
*두통이 있을 때 아이를 편히 눕히고 약간 조명을 어둡게 한 후 냉찜질을 시
도해 보고 재미있는 생각을 하게 해본다. 그러면 가벼운 두통은 호전되는 경우
가 많다.
*그래도 병원을 찾아서 진료를 해보아야 할 정도라고 생각되면 두통이 있을
때마다 두통에 대한 기록(두통일기)을 해본다. 두통이 언제부터 생겼는지, 얼마
나 자주 있는지, 하루 중 어느 때 발생하는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머리의
어느 쪽이 어떻게 아픈지, 얼마나 심하게 아픈지, 두통이 있는 경우에 동반되는
다른 증상은 없는지, 두통의 유발 요인이나 경감요인은 없는지 등을 기록한다.
이렇게 하다 보면 두통이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되고 사소
한 두통의 경우에는 두통이 사라지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만약 병원에 가
서 의사의 진료를 받게 될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귀중한 자료가 되어 진료에 도
움이 될 수 있다.
이럴 때는 의사에게
*최근 한두 달 이내에 점점 심해지는 두통
*열이 심하고 정신이 흐려지며 구토와 전신쇠약이 동반되는 두통
*현저하게 체중이 늘어가거나 시야에 이상이 있거나 기타 시력에 변화를 느낄
때, 전화의 목소리가 한쪽 귀에는 잘 안들리게 두통이 동반된다면 뇌촬영이 필
요하다.
*늘 진통제를 복용해야 하는 상태의 경우
*전에 아프던 두통과는 좀 다른 양상의 두통이 시작될 때
*머리를 다친 적이 있거나 화학물질 등에 노출된 적이 있을 때
*어린이의 경우 갑자기 성적이 떨어지고 행동이상이 나타나는 경우
*경련 특히 부분적인 경련발작을 하는 경우
*입시생 즉 자주 발생하는 두통으로 인해 활동에 지장이 많은 경우
그외 정보/상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