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외 정보/상식137 기저귀 피부염 기저귀 피부염은 기저귀를 차는 부위에 여러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 는 염증성 병변을 총칭하는 것으로 좀더 정확한 용어는 원발성 자극 기저귀 피 부염이다. 따라서 기저귀를 찬 부위에 자극을 줄 수 있는 많은 요소들이 기저귀 피부염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기저귀 피부염은 왜 생기나? 기저귀보의 직물 자체에 의한 마찰이나 기저귀 차는 부위의 수분에 의해 침연 (피부가 물러져서 벗겨짐)이 일어나서 피부의 일차적인 방어기능이 감소됨으로 써 외부의 다양한 자극 물질에 의하여 피부염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소변이 세균에 의해 분해되어 생기는 암모니아의 자극에 의하여 기 저귀 피부염이 발생한다고 생각되었으나, 현재는 암모니아 단독으로는 기저귀 피부염을 악화시킬 수는 있으나 기저귀 피부염을 유발.. 2020. 8. 1. 소아의 혈뇨 혈뇨란 소변에 적혈구가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 우리가 흔히 하는 소변검사로 서 간단히 혈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눈으로 보이는 경우를 육안족혈뇨라고 하며, 색깔은 선홍색에서부터 간장색깔까지 다양하다. 또 우연히 소변검사를 시 행하였을 때 깨끗하게 보이는 소변에서도 혈뇨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현미경적 혈뇨라고 정의한다. 혈뇨는 상당히 흔해서 학동기 아동의 약 2%에서 발견된다. 소변이 붉지만 혈뇨가 아닌 경우도 있는데 이 역시 드물지 않으며, 섭취한 음 식물 또는 약물(결핵에 쓰는 리팜핀) 그리고 요산이 배출될 때도 붉은 색을 띨 수 있다. 따라서 혈뇨인지 아닌지를 가려내는 것은 소변의 색깔만으로 판단할 수 없고 소변검사로 꼭 확인하여야 한다. 혈뇨의 원인 소변은 사구체에서부터 세뇨관에 이르기.. 2020. 8. 1. 소아의 변비 변비라고 할 때에는 대변의 횟수보다는 대변이 얼마나 딱딱한가 하는 것이 문 제이다. 어린 아기는 하루에 한 번 또는 그 이상 대변을 누는 것이 보통이지만 2^36^3일에 한 번 누더라도 대변이 굳지 않고 편하게 눌 때에는 변비라고 생각 할 필요가 없다. 모유를 충분히 먹는 아기는 변비가 오는 일이 없다. 우유를 먹는 아기는 모유 를 먹는 아기에 비하여 대변이 된 것이 보통이지만 우유를 먹는 아기도 충분한 양을 먹고 있을 때에는 변비가 오는 일은 거의 없다. 변비는 왜 생기나? *모유를 먹는 아기 모유를 먹는 아기가 변비가 올 때에는 대부분 모유량이 부족하거나 아기가 아 파 모유를 먹지 않아서 오게 된다. 따라서 모유 영양아에게 변비가 있을 때에는 모유량이 부족하지 않은 지를 알아보도록 해야 한다. *우유.. 2020. 8. 1. 소아의 중이염 성인의 귀의 염증은 주로 외이염이며 수영 후에 외이 피부에 염증을 일으킨다 거나, 곰팡이에 의한 외이 진균증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소아, 특히 3세 이하 의 소아의 경우 전체 소아중 30% 이상이 첫 3년 동안 3회 이상의 중이염을 앓 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소아에서의 중이염을 적절히 치료받지 않을 경우 난청으로 인하여말을 배우는 것이 늦어지며 학교에서 배우는 것도 지장을 받게 된다. 중이염은 왜 걸리나? *'이관'(유스타키안관)이 막혀서 이차적인 염증에 의해 걸린다. 흔히 일반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같이 물이 '외이'로 들어가서 걸리는 경우는 ' 외이염'을 일으키는 것이며, 고막보다 안쪽의 공간인 '중이'에 염증을 일으키는 '중이염'은 거의 다 중이와 코의 뒷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통로인 '이.. 2020. 8. 1. 소아의 황달 황달은 빌리루빈(bilirubin)이라고 하는 황색 색소에 의해 눈의 흰자위나 피부, 점막 등이 노랗게 착색되는 것을 말한다. 신생아기의 생리적 황달을 제외하면 유, 소아에게서 정상적으로 피부가 노랗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황달 이 생기는 경우는 모두 병적인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황달의 원인 *생리적 황달 생리적 황달은 주로 생후 2^36^4일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생후 1주일 이내에 사라지는 것이 보통이다. 신생아기의 독특한 생리적 현상에 의해 생기며, 대개 혈중 빌리루빈이 12mg/dl이상의 심한 황달이 오는 경우는 드물다. 만삭아의 60%, 미숙아의80%에서 관찰되며, 신생아 황달중 가장 흔한 원인이다. 한국인을 포함한 동양인에게서 발생빈도가 높다. *모유황달 모유 수유아 중 생후 4^.. 2020. 8. 1. 소아의 빈혈 빈혈은 혈색소(hemoglobin)량과 적혈구수가 정상치보다 적은 상태를 말한다. 혈색소는 우리 몸에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데, 혈색소가 부족할 경우에는 피부가 창백해지고 현기증이 나며 몸이 피로하고 무기력해지며 맥박이 빨라진 다. 부모는 아이의 얼굴과 피부가 유난히 창백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고 때로 는 혹시 황달이 있는 것은 아닐까 해서 병원을 찾는 사람도 있다. 빈혈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피곤해 하거나 보채고 식욕이 떨어져 밥을 잘 먹 지 않으려 하며 주위 환경에 둔하게 반응하는 것과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 또 신경학적 이상도 초래되어 행동장애 및 발달장애가 나타나고, 집중력이 부족해 지면 자극에 대한 반응이 느려진다. 소아는 지적 수행능력 및 주의력이 감소하 여 학교 성적이 떨어진다. 그외에.. 2020. 8. 1.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