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외 정보/상식137

부정맥 심장은 일분에 60-100회 정도 규칙적으로 박동(수축)하여 산소와 필요한 영양 분을 전신에 공급한다. 하루에 8만6천에서 14만4천 번을 평생을 쉬지 않고 박동 한다는 사실은 실로 놀라운 일이다. 하루에 대략 10만 번을 박동한다고 생각하 고 이 중 1백 번의 박동이 비정상적이었다고 가정하더라도 1,000회 중 1회 정도 가 비정상적인 박동에 불가한 것이므로 심장의 박동은 실로 대단히 정확한 것이 다. 실제로 심장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는 이보다 더 정확하게 박동하고 있다. 심장은 수면중에는 1분에 60회 미만의 느린 속도로 운동시에는 100회를 넘는 빠른 속도로 박동한다. 이처럼 필요에 따라 심장이 박동할 수 있는 것은 심장을 구성하는 세포 중에 스스로 전기적 자극을 만들 수 있는 세포(자동박동기능:.. 2020. 8. 3.
고혈압 혈관에 혈액이 흐르면서 발생하는 압력을 혈압이라고 한다. 혈관 속으로 피가 흐르지 않으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중요기관에 공급하지 못하 여 몸이 제대로 활동을 못하게 된다. 혈압은 항시 일정하지 않고 몸이 산소와 영양을 필요로 하는 만큼 수시로 변한다. 즉 운동을 하거나 흥분하면 올라가고 쉴 때나 잠잘 때는 떨어진다. 이렇게 혈압이 수시로 변하는 것은 정상이다. 심장 이 뛰면(펌프와 같이 수축하면) 혈관을 통해서 몸의 여로 곳으로 피가 흐른다. 피가 혈관을 흐르면서 혈관을 넓히려는 힘을 혈압이라고 한다. 혈관은 근육과 탄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장이 펌프 활동을 할 때마다 늘어나거나(확장) 좁 아지면서(수축) 피가 흐르게 된다. 심장이 수축하여 피가 혈관을 흐를 때는 혈압이 올라가고 수축.. 2020. 8. 3.
천식 천식은 널리 알려진 만큼 빈도 또한 적지 않다. 최근 세계적으로 천식발병률 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상당수의 환자 들은 천식에 대해 생각만큼 잘 알고 있지 못하다. 천식은 만성적으로 기도에 염 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며, 염증반응이 자발적으로 또는 치료에 의해 호전된 후 다시 악화하는 가변성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천식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유발인자에 의해 악화되는데, 이에는 항원, 화학 적 자극제, 바이러스 감염, 운동, 찬 공기, 약제 등이 있다. 특히 항원으로 집먼지 진드기가 중요한데, 이는 우리 실내에 상주하여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과거 뉴 기니 고산족의 천식발병률은 0%로 알려졌으나, 담요를 지급한 후 천식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담.. 2020. 8. 3.
결핵 결핵균이 체내에 들어와서(감염) 저항력이 약화된 사람에게 병을 일으킨 것(발 병)으로 결핵균에 감염되었다고 하여 모두 발병하는 것은 아니고 감염된 사람의 5-15%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체 모든 기관에 병을 일으킬 수 있 으나 89% 이상이 폐결핵을 일으킨다. 결핵균의 전파는 환자의 가래, 대변, 소변, 고름에 있는 균이 다른 사람의 호흡기, 소화기, 피부 등을 통해 들어감으로써 이 루어질 수 있으나 실제로 거의 대부분의 전염은 폐결핵 환자의 객담에 있는 균 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주위 사람의 호흡기내로 들어가서 일어난다. 결핵에 걸리게 되면 전신증상으로 발열(대개 미열로서 주로 오후에 열이 나고 밤에 잠이 들면 내림),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호흡기 증상으.. 2020. 8. 3.
독감:인플루엔자 많은 사람들이 증세가 심한 감기에 걸리면 독감에 걸렸다고 말하지만,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독감은 감기 증세를 일으키는 여러 가지 바이러스 중에서 인플루 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 상기도 감염을 말한다. 이러한 인플루엔자 감염은 10~ 40년을 주기로 전 세계적인 대유행을 일으키며 그 중간에 2~ 3년을 주기로 소유행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날씨 가 춥고 건조한 10월부터 4월까지 발생울이 높다. 독감은 일반적인 감기보다는 증세가 심하여 피로감이 동바될 고열이 40도 이상 오르내리고 심한 두통과 오 한, 닿기만 해도 아픔을 느낄 정도의 근육통에 시달리게 되어 학교나 직장에 결 석하게 되는 수가 많다. 인두통도 심하여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침을 많이 흘 리고 잘 먹지 못하고 심하게 보.. 2020. 8. 3.
만성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이란 기관이나 기관지내에 기침을 일으킬 정도로 매우 많은 양의 점액이 생산되는 상태로 의학적으로는 기침, 가래가 1년에 3개월 이상 나오고 그것이 최소한 2년 이상 지속될 때 진단한다. 가래는 묽은 경우도 있고 진하고 누련 경우도 있으며, 기침은 지속적이고 대개 가래가 끓는 기침을 한다. 이질환 의 초기에는 겨울철에만 기침을 하나 질환이 더 진행됨에 따라 기침을 하는 기 간이 더 늘어나 나중에는 일년 내내 기침을 할 수도 있다. 호흡기능이 감소되기 도 하여 때로 힘든 일이나 운동을 할 때 숨이 찰 수도 있다. 진단은 증상만으로 할 수 있으며, 가슴 X- 레이 촬영과 폐기능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만성기관지염은 왜 생기나? 기관지에 만성적인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원인요인들이 만성기관지.. 2020.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