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외 정보/상식137 멍이 자주 들 때 자반증 혹은 멍이란 피하에 출혈이 된 것으로 이는 전신적 출혈 경향을 반영 하므로 매우 심각한 상태인 뇌출혈이나 구인두출혈, 장출혈 등의 신호일 수도 있다. 다양한 여러 원인이 있으나 그 중 심각한 것으로는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 반증,재생불량성빈혈,백혈병 등이 있으므로 어떠한 경우에 전문적 진찰이 필요한 가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멍과 피하출혈 피부에 나타나는 멍이란 크기 1cm 이상의 암청색 색깔 변화를 말하며 피하출 혈을 의미한다. 점상피하출혈은 크기가 수 밀리미터의 작고 붉은 반점을 이르며 이는 피부의 진피에 적혈구가 유출된 상태이다. 멍 또는 피하출혈의 발생은 혈관이 취약하거나, 혈액응고인자의 결핍 상태 혹 은 혈액내의 혈소판의 수가 감소하거나 그 기능이 감소될 때 초래된다. 노인들에게서 손등,.. 2020. 7. 31. 멀미가 날 때 멀미는 버스나 배와 같은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속이 미식거리면서 구토가 생 기는 걸 말한다. 멀미는 대부분의 사람들에 있어서는 사소한 일로 생각되지만 특이한 체질을 가진 사람들에 있어서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각하다. 어떤 젊은 여 자 환자는 버스를 타기만 하면 예외없이 멀미를 하고 심지어는 택시를 5분만 타 도 멀미를 하는 바람에 평상시의 활동에도 커다란 제약을 받는다고 한다. 그러 다보니 그녀는 여행이라면 기겁을 하며 사양하게 되고 어쩌다가 단체로 피치못 하게 버스여행이라도 하게 되면 멀미에 시달리느라 남들과 어울리지도 못한다고 하면서 무슨 비방이 없겠느냐고 호소해왔다. 멀미는 인류가 수레를 탄다든지 배를 탄다든지 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시 작한 이래 인류와 같이 지내왔다. 멀미에 대한 기.. 2020. 7. 31. 몸이 부을 때 부종이란 세포외 체액이 혈관 이외의 부분에 과도하게 축적되는 현상을 말하 며 부종의 분포범위에 따라 분포하는 국소부종과 온몸에 걸쳐 발생하는 전신부 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부종은 병적 원인에 의해 초래되는 경우 외에도 생리적인 현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즉 오랫동안 서 있거나 앉은 자세 후에 다리가 붓는다든지, 타이핑과 같이 똑같은 동작을 계속 반복할 경우에 운동부위가 붓는 경우, 짠 음식을 과다 한 후 포만감과 함께 붓는 느낌, 월경 전에 수반하는 부종등이 모두 그 예이다. 부종은 왜 생기나? 부종은 체액이 혈관 안으로부터 밖으로 이동하여 초래된 결과로, 모세혈관 혈 류역학의 일차적인 변화에 기인한다. 즉 외상이나 감염의 경우처럼 조직이 직법 물리적으로 혹은 화학적으로 손상을 받으면 모세혈관이 파.. 2020. 7. 31. 딸꾹질이 날 때 딸꾹질은 우리가 임의로 조절할수 없는 자율신경의 반사작용이다. 다른 예를 들자면 정형외과 의사가 환자의 무릎을 작은망치(헤머)로 두드릴 때 다리가 반 사적으로 펴졌다 오므려 지는 것과 같은 것이다. 딸국질은 뇌에서 복부까지 연 결되어 있는 미주신경 이라는 자율신경계나 혹은 그 분지가 자극을 받았을 때 발생하고 미주신경은 횡경막까지 전달된 횡경막 신경을 통해 폐 아래의 근육을 자극한다. 그러면 횡경막이 경련을 일으키고 수축하여 딸국질이 일어나게 된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딸국질은 소화장애에 의해 종종 일어나는 반응이라고 한 다. 가끔 딸국질은 수 일간 계속해서 걱정에 휩싸여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를 보 는데 딸국질은 성가시게만 할 뿐 인체에 무관하다. 그리고 왜 딸국질이 일어나는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멈추.. 2020. 7. 31. 황달이 있을 때 황달이란 빌리루빈(billirubin)이라고 하는 황색색소가 우리 몸에 과다하게 침 착되는 상태를 말한다. 인간은 수많은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있는데, 그 중 필요 한 것은 섭취 이용하고, 부득이 해로운 물질이 섭취되었거나 생성되었을 경우에 는 적절한 해독 과정을 거쳐 소변 또는 담즙으로 배설한다. 빌리루빈은 헤모글 로빈과 같이 철분을 갖고 있는 특수 단백이 체내에서 분해되는 도중에 생성되는 유독물질로, 간에서 해독작용을 거친 후 담즙으로 배설된다. 따라서 간기능이 저 하되면 황달이 나타나기 때문에 대부분 '황달'하면 간염을 생각하게 되나, 황달 의 원인은 다양하다. 황달의 원인 간장을 큰 화학공장으로 비유한다면, 황달은 공장에 원료 및 제품이 축적되는 상태를 말한다. 즉 #1 원료공급이 과다한 상태(용혈.. 2020. 7. 31. 변비가 있을 때 변비는 통상 변을 보는 횟수가 1주에 2~3번 미만인 경우를 말하나, 배변횟수 외에도 배변시 과도한 힘을 주어야 되는가, 변이 굳은가, 아랫배가 아픈가 또는 충분히 변을 보지 못한 느낌(후중감)이 남는가의 여부도 중요하다. 여행 등으로 환경이 변하거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후 또는 장염을 알고 난 후에 일시적인 변비가 것은 흔하고 별다른 치료 없이 회복되므로 여기서는 만성 적인 변비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하겠다. 변비는 왜 생기나 특별한 질병이 없는 경우(단순 만성변비) *식사량이 적거나 대변으로 배설될 찌꺼기 (식물성 섬유질)가 적인 식사를 할 때 *부적절한 배변습관-변의를 느낄 때 자주 참는 것은 변 자체를 더욱 굳게 만 들고 직장의 기능을 약화시키므로 변비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아침시간에 바쁜 현.. 2020. 7. 31.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