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외 정보/상식137

목에 무엇이 걸린 것 같을 때 목 안에 무엇인가 들어 있거나 붙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 다. 특히 수개월 혹은 수년에 걸쳐 만성적으로 그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그 원인을 찾기가 쉽지 않다. 원인 만일 음식을 삼키는 데 지장이 있다면, 식도에 질환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식도조영술을 하거나 식도내압을 재는 검사를 하면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생목이 오르거나(시거나 쓴 물이 넘어오는 것), 오목가슴 부위의 통증을 동반 한 경우는 역류성 식도염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진단은 내시경검사, 또는 상부위장관 조영검사를 하여 내릴 수 있다. 부비동염(축농증)이 있어서 코에서 목으로 넘어가는 분비물이 만성적으로 인후부를 자극해 이물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부비동염의 다른 증상(코막힘, 냄새를 잘 못 맡는 것,.. 2020. 7. 31.
잇몸이 아프거나 피가 날 때 우리 몸에서 가장 단단한 치아와 우리 몸에서 제일 부드러운 잇몸이 만나는 곳에 균을 그냥 쌓아 두면 충치뿐 아니라 잇몸병도 생긴다. 입에서 냄새가 나고 잇몸이 붓고 피가 난다. 또 이가 시리고 딱딱한 음식을 씹을 수가 없다. 그냥 두 면 이가 흔들리고 치아 사이가 벌어져 음식도 자꾸 끼고 조금 피곤하면 부어오 르며 아프다. 이럴 때 '충치다! 가라앉으면 치과에 가서 뽑아야지!'하는 사람이 가끔 있다. 이는 어리석은 일이다. 아프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고 치료 는 빨리 할수록 좋다. 잇몸병은 어떻게 생기나? 치아와 잇몸이 만나는 곳에 치주낭이라는 주머니가 있다. 칫솔질이 잘못되면 이 곳에 치석이 쌓이며 잇몸병이 생긴다. 부드러운 잇몸에서 균이 만들어 낸 독 소에 대항하기 위해 우리 몸의 방어기전인 .. 2020. 7. 31.
입에서 냄새가 날 때 구취(입냄새)는 구강내의 문제로 실제 입 안에서 나는 냄새, 숨을 내쉴 때 호 흡기에서 나오는 냄새, 식도나 위장관계에서 올라오는 냄새로 구분할 수 있다. 대개(80~90%)는 입 안의 문제로 냄새가 나는데, 입 안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이 음식물 찌꺼기로 냄새물질(프라그)을 만들고 이것이 이 사이에 끼어 있 다가 내는 냄새가 '아침 입냄새'이다. *입 안에서 나는 냄새의 원인 냄새의 원인이 되는 음식물 찌꺼기가 많이 남아 있는 경우 구멍난 충치에 음식이 끼거나 양치질을 자주 하지 않을 때, 혹은 잘못된 칫솔 질을 하게 되면 음식 찌꺼기가 입 안에 남게 되고 이것으로 세균이 냄새물질을 만들어 냄새를 나게 한다. *입 안에 세균이 많아지는 경우 항생제를 남용하거나 과음이나 흡연시 혀에 염증이 생기면 혀.. 2020. 7. 31.
가슴이 아플 때 가슴에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신체 다른 부위의 통증을 느끼는 환자와는 달리 정신적으로 불안, 초조해 하거나 죽음에 대한 공포심을 가진 경우가 많다. 가슴에 손을 얹고 괴로워하다가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환자들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런데 실제로는 가슴이 아픈 것 자체가 모두 심각한 건강문제 와 직접 관련된 것만은 아니고 좀 두고 보아도 큰 문제가 없는 경우도 많이 있 다. 그리고 각각의 경우를 구별하는 것은 가슴이 어떻게 아픈지를 자세히 살펴 보면 가능한 경우가 많이 있다.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흉통은 대부분 심장에 그 원인을 두고 있는데, 이 점이 환자 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박리성 대동맥류 등이 흉 통을 일으키는 심각한 심장질환이다. .. 2020. 7. 31.
가슴이 두근거릴 때 '가슴이 두근거린다'는 것은 심장의 박동을 자신이 느낄 수 있는 상태, 때로는 심박동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것 같거나 불규칙하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가슴이 두근거림은 굳이 심장의 병이 아니더라도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있 을 때나 운동을 한 후와 같이 심박동이 빨라졌을 때 흔히 경험해 볼 수 있다. 가슴 두근거림 자체는 심장질환이나 특정한 부정맥을 시사하지는 않으며, 심박 동이 정상일 때도 느낄 수 있다. 가슴 두근거림의 원인 정상적인 경우에도 심장의 박동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즉 신체적 활동이나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해 심박동수와 심근수축력이 증가하여 나타날 수 있다. *불안신경증 신체적 활동이나 정신적 스트레스와는 관계없이 발생하는 가슴두근거림은 보 통 불안신경증에 의한 것이고 다른 정신 신체적.. 2020. 7. 31.
숨이 차고 호흡이 곤란할 때 일반적인 자각증상으로 "숨이 차다" 또는 "숨쉬기가 불편하다" 등으로 말하는 것을 "호흡곤란"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호흡하는 것을 평상시와는 다르게 불편 하게 느끼는 것을 말한다. 객관적으로는 대체로 호흡량이 작고 호흡횟수가 빠른 것으로 나타난다. 흔히 호흡곤란은 기관지 천식이나 심장병과 같은 질병에서 만 성적으로 오는 경우가 많으나 기도내 이물질이나 후두부종과 같은 급성호흡곤란 으로 응급조치를 요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불안신경증이나 과로, 스트레스에 의 한 교감신경 기능의 항진으로 '가슴이 답답한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은 데, 이들은 대부분 막연히 폐기능검사나 심장검사를 해보고자 병원을 방문한다. 호흡곤란의 원인과 증상 *폐질환에 의한 호흡곤란 (만성폐쇄성폐질환)-기관지의 지속적인 폐쇄를 .. 2020.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