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외 정보/상식137

유전병 최근 사회경제적 여건의 변화, 산모 연령층의 증가, 소수의 건강한 자녀만을 바라는 경향, 환경의 오염 및 공해에 대한 우려와 비례해서 유전병에 대한 관심 이 점증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유전병이라 하면 예방과 치료가 전혀 불가능 한 천형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서 남에게 알려지는 것을 꺼려 쉬쉬하며 숨긴 다. 따라서 다음에 태어날 아이의 예방이 불가능하거나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모계의 탓이니 부계의 탓이니 하여 가정이 파탄에 이르는 경우도 있 다. 유전이란 뜻은? 좁은 의미의 유전이라 함은 부모의 특이한 소질이 다음 세대에 전달되는 것을 뜻한다. 넓은 의미의 유전은 선천적 장애를 통칭한다. 선천적 장애 중에는 유전적 장애로부터 오는 경우가 있다. 거꾸로 모든 유전적 장애는 반드시 출생시부터.. 2020. 8. 4.
에이즈 에이즈(AIDS)는 후천성변역결핍증이라 부르는데 에이즈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입해서 면역기능을 파괴시키고, 그로 인해서 정상인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여러 기지 위중한 감염병을 과거 중세의 흑사병처럼 두려운 질병이라 하여 '20 세기의 흑사병' 이라 부르고 있다. 에이즈는 어떻게 전염되는가? 현재 전세계적으로 감염자의 70∼80% 이상이 성접촉에 의해서 전염되고 있는 데, 그들 중 대부분은 이성간의 성접촉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이 성간의 성접촉에 의한 전염이 크게 증가하면서 여성 감염자수가 급격히 늘어나 고 있고, 서기 2000년에는 감염자 발생의 대부분이 여성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 다. 또한 여성 김염자수의 증가는 신생아 감염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는데, 실제 현재 전세계 에이.. 2020. 8. 4.
빈혈 빈혈이란? 빈혈은 혈액 중의 혈색소 또는 적혈구의 양이 정상 이하로 감소된 것을 말한 다. 혈색소는 적혈구의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산소를 폐에서 말초기관으로 운반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적혈구는 뼈 속에 있는 스펀지 같은 부분, 즉 골수에서 만들며 백혈구, 혈소판도 여기서 만든다. 빈혈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인데도, 대부분이 이에 대해 잘 모르며, '빈혈=어지러움증' 으로 생각하여 심 한 빈혈도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기도 하고 때로는 어지러움만 느껴도 빈혈의 치료에 사용되는 철분제제를 사 먹기도 한다. 물론 빈혈로 인하여 어지러움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어지러움은 빈혈외의 수많은 다른 원인에 의한 경 우가 더 많기 때문에 '어지러움=빈혈' 은 잘못된 생각이다. 빈혈의 종류 철.. 2020. 8. 4.
알레르기 흔히 알레르기라고 하면 몸이 가렵거나 두드러기가 돋는 경우로 생각하기 쉬 우나 사실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기관지 천식과 같은 호흡기 알레르기로서 이 경우가 더 심각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생활습관이 서구 화되고 산업화, 도시화되면서 이러한 알레르기 질환이 소아, 성인 모두에게서 급 증하고 있다. 알레르기 질환에 속하는 것은? 알레르기성 비염,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건초열, 두드러기 및 혈관부종, 약물 알레르기, 음식물 알레르기, 벌독 알레르기 등이 대 표적인 것들이며 최근에는 직업적으로 노출되는 가스나 화학물질에 의한 직업성 알레르기도 증가하고 있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우리나라에 많은 것으로는 집먼지 진드기, 동물털(.. 2020. 8. 4.
식중독 식중독이란 세균이나 그 독소에 오염된 음식을 먹은 후 짧게는 수분에서 보통 24시간 이내에 구토나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대부분 하절기(6∼9월) 특히 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식중독은 심한 복통이나 구토 설사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몹시 당황하기 쉬우나 생명을 위협하는 위중 한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24시간 이내에 자연 회복된다. 그러나 일단 증상이 시 작되면 병의 진행을 억제하기는 어렵다. 식중독은 어떻게 오나 비위생적으로 식품을 처리한 경우, 특히 단백질이 풍부하고 수분이 많은 크림, 사라다, 육류(햄)등의 식품인 경우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고 실온에 방치했거나 시간이 지난 후 냉장고에 넣었을 경우 불완전하게 처리된 통조림, 훈제식품 감염된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거나 .. 2020. 8. 4.
두드러기 두드러기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 중 하나로 전인구 중 약 20%에서 적어도 일 생에 한 번은 두드러기를 경험한다. 두드러기의 특징은 일과성에 있다. 즉 몸 어 디에서나 붉게 혹은 흰색을 띠며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넓적하게 부풀어오르 는데 하나 하나의 병변은 수시간, 기껏해야 하루를 넘지 못한다. 따라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피부에 어떤 형태로든 피부병이 생겼다고 할 때 잘 관찰해 보아서 그 병이 수 시간 후에 없어지며 특히 가려움증을 동반한다면 두드러기라 고 해도 크게 틀리지는 않는다. 두드러기는 편의상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는데 일반적으로 수일 또는 수주간 지속한 후에 완전히 없어지는 경우를 급성두드러 기라고 하며, 적어도 6주 이상 경과하는 경우를 만성두드러기라고 한다. 이는 대 단히 중요한 의미.. 2020. 8. 4.